"부동산 보다 주식"...증시 대기자금 142조 사상최대

입력 2020-04-20 06:41   수정 2020-04-20 07:0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폭락했던 주가가 개인 매수세에 힘입어 한 달여 만에 코스피 1,900선을 회복한 가운데 증시 주변 자금 증가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 여당의 총선 압승으로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이 꺾여 부동산에서 증시로 향하는 자금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향후 `동학개미운동`이 한층 힘을 얻을지 주목된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6일 현재 증시 주변 자금은 총 141조7천28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 1월 20일 이후 27조336억원(23.57%) 증가한 것이다.

증시 주변 자금은 바로 전 거래일인 지난 14일에는 141조7천928억원으로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증시 주변 자금은 투자자예탁금(44조2천345억원), 파생상품거래예수금(11조9천999억원), 환매조건부채권(RP) 잔고(77조1천404억원), 위탁매매 미수금(2천688억원), 신용융자 잔고(8조799억원), 신용대주 잔고(47억원) 등을 합한 것이다.

이중 특히 투자자가 주식을 사려고 증권사에 맡겨놨거나 주식을 판 뒤 찾지 않은 돈인 투자자예탁금은 16일 현재 44조2천345억원으로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 직전(27조5천459억원) 대비 60.58% 급증했다.

이처럼 증시에 자금이 몰리면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는 지난 1월 20일부터 지난 17일까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20조8천976억원어치, 코스닥 3조2천858억원어치 등 총 24조1천834억어치 주식을 사들였다.

코로나19 충격에 지난달 23일 종가 기준 1,482.46까지 떨어졌던 코스피는 이 같은 `동학개미 군단`의 가세를 동력으로 17일 종가 1,914.53까지 29.15% 급속 반등했다.

다만 개인은 코스피에서 지난 6일 8천430억원을 팔아치운 데 이어 지난 14일 4천530억원, 17일 6천57억원을 각각 순매도하는 등 최근 주가 회복에 일부 차익을 실현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대체로 일시적 `숨 고르기`는 불가피하지만, 개인 투자자의 증시 유입 증가라는 큰 추세 자체는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우선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양적완화 및 `제로 금리` 정책으로 향후 유동성의 폭발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여기에 국내 가계의 최대 투자대상인 아파트 등 부동산 시장이 코로나19 충격과 정부의 강력한 집값 안정화 정책으로 가라앉으면서 부동산 시장을 맴돌던 자금 일부가 증시로 넘어오기 시작했다는 진단이 나온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조사 기준 서울 강남 4구 아파트값은 1주일 전보다 0.20% 떨어져 지난해 1월 말 0.35% 하락 이후 약 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내렸다.

게다가 이번 21대 총선에서 재건축 규제 완화,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의 공약을 내세운 미래통합당의 참패와 여당의 압승으로 정책 변화의 기대감마저 사라지면서 부동산 시장의 약세가 한층 심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성근·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여당의 총선 압승으로 부동산 정책에서는 현 정책의 집값 안정화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며 "다주택자 과세 강화, 3기 신도시 건설, 분양가 상한제 등 기존 정책의 추진에 속도가 더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총선 이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등 강남권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재건축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실망감에 호가를 낮춘 급매물이 늘었다.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6㎡의 경우 총선 이후 1층은 17억5천만원, 3층 17억8천만원, 중층은 18억원 선에 급매물이 나왔는데 이는 지난달 초에 2층이 19억5천만원에 팔린 데 비해 2억원 이상 떨어진 것이다.

특히 올해 3조원, 2021년 12조원, 2022년 11조원 등 총 30조원 이상이 풀릴 것으로 추산되는 3기 신도시 토지보상금이 개인 투자자의 새로운 자금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