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에 라임, 옵티머스 사태까지 터지면서 사모 운용업계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특히 사모펀드 사고로 낭패를 본 은행권이 사모펀드 수탁을 거부하면서 신규펀드 설정은 전무한 상황입니다.
사모펀드운용 업계의 존폐 위기론이 커지고 있는 만큼,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박승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2018년 설립된 정우자산운용.
전문사모운용사 등록을 한 뒤 항공기, 선박과 같은 특별자산 자문업 등을 영위했지만, 최근 들어 자진 폐업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연속으로 터져나온 라임과 옵티머스 사태에다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특히 은행과 증권사 일선 창구에서의 사모펀드 판매가 완전히 막힌 영향을 받았습니다.
실제 지난 7월말 기준 개인 대상 사모펀드 판매잔고는 19조7천억원. 라임 사태 직전인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7조원 이상 급감했습니다.
문제는 사모펀드운용 업계의 경영환경이 앞으로 더 악화될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가장 큰 위협은 바로 펀드 자산의 '금고지기'인 주요 은행들이 수탁업무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연이은 사태로 현재 금융당국이 사모펀드 수탁 자산을 전수 조사하면서 수탁은행의 펀드관리 책임론이 불거진 여파입니다.
<인터뷰> A 사모펀드운용 이사
"법적인 책임은 크고 기대수익은 작으니까 왜 집중해 하냐는 식인 것 같아요. 대형은행은 (수탁을) 거의 안한다는 곳이 많고, 소규모 은행도 보수가 많이 올라가고 있는 게 현실이예요."
수탁은행의 외면에 사모운용사들의 정상적인 펀드의 설정마저 '올스톱'된 상황.
사모펀드운용 업계의 존폐 위기론이 커지고 있는 만큼,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황세운 상명대 DnA랩 객원연구위원
"수탁사들에 대한 확인 책임을 강화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수탁사들이 부담감을 많이 느낄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수탁사들에 대한 책임들은 일정 부분 완화하는 모습이 나타날 필요성이 있다고 봅니다."
극소수 사모운용사의 일탈과 금융당국의 과도한 책임추궁에 수탁업무를 기피하는 현상이 확산되는 가운데 사모업계의 한 숨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승원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