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오늘 뉴욕 증시 움직임부터 말씀해주시지요. 비트코인 가격도 어떻게 됐는지도 함께 말씀해주시지요.
-美 증시, 낙관론 속에 흐트러짐 현상 지속
-글로벌 IB, 바이든 시대 증시 낙관론 이어져
-코로나 확진자 수와 ‘트럼프 60일’ 위험 부각
-최후 트럼프 발악, 이란과 북한 핵시설 공격?
-달러 가치 ‘하락’ 비트코인 가격 ‘상승’ 지속
-Fed, 디지털 달러 발행 검토…현재의 달러화는?
-달러 가치 폭락설과 휴지조각설 ‘끊이지 않아’
Q.미국도 마침내.. 디지털 달러화 발행을 선언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당초 신중한 입장을 바꿔 디지털 달러화 발행을 검토하게 된 이유라면?
-코로나 이후, 디지털 콘택트 시대 앞당겨져
-경제 활동 지역, 빠르게 온라인으로 이동
-파월, 트럼프와 갈등 속 ‘신중한 입장’ 견지
-Fed, 자체적으로 디지털 달러화 발행 연구
-언제든지 디지털 달러화 발행할 수 있는 상황
-바이든 당선 이후, 美 경제정책 속속 변화
-기후협약가입 이어 ‘디지털 달러화’ 발행 선언
Q.방금 지적해주신대로 파월 의장과 Fed의 태도가 변한 것은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 것이 가장 큰 요인이 많지 않습니까?
-트럼프 연임, 디지털 달러화 도입 지연 우려
-제로섬 게임방식 中과의 경제패권 다툼 지속
-디지털 통화 주도권 내줘, 트럼프 자존심 상실
-바이든 당선, 집권하자마자 서둘러 도입할 듯
-공생적 게임방식, 中과의 경제패권 경쟁 지속
-디지털 위안화와 디지털 달러화 간 공존 모색
-Fed, 페이스북과 페이팔 흡수보다 CBDC 발행
Q.Fed가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 디지털 달러화도 CBDC라 말씀하셨는데요. 왜 CBDC로 발행하는 것입니까?
-디지털 통화, 종전의 가상화폐 한계 극복
-성공 여부, 발행기관과 법정화 여부가 중요
-CBDC가 직접 발행, 두 가지 문제를 해결
-CBDC =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디지털 달러, 늦었더라도 빠르게 정착할 가능성
-CBDC→은행 예금→소비자 전자수첩 예치
-은행이 빠지고 CBDC와 소비자와 직접 거래
-1:1 교환, 현재 달러화 가치 ‘폭락 방지’
Q.Fed가 디지털 달러화 도입에 기존전의 입장을 바꾼 요인 중에는.. 지난 5월에 도입했던 디지털 위안화가 의외로 성공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죠?
-中, 5월부터 4개 도시 디지털 위안화 운용
-코로나로 ‘계획보다 연기된다’ 예상 뒤엎어
-코로나로 급진전될 화폐 생활 ‘선제적 대비’
-디지털 위안화 결단, 디지털 통화 주도권 확보
-시범운용 6개월차, 의외로 빨리 정착 ‘고무적’
-인민은행, 조만간 디지털 위안화 법정화폐 인정
-시진핑 주석, 디지털 위안화 중국 밖 사용 검토
Q.다른 국가들도 대부분 디지털 통화 도입을 선언했죠? 구체적인 상황이 어떻습니까?
-中보다 앞서갔던 스웨덴, e-크로네 ‘안정적 정착’
-ECB 방침과 관계없이 북유럽 국가 속속 도입
-라가르도 ECB 총재, 디지털 유로화 발행 선언
-아베 정부, 디지털 통화 발행에 ‘소극적 입장’
-디지털 위안화 발행 후 亞 중심통화 탈락 우려
-아베 전 총리, 올해 안에 디지털 엔화 발행
-스가 정부, 정권 교체기 지나면 우선적 발행
Q.세계 경제 양대 대국인 미국과 중국이 디지털 통화를 도입한다면 또 다른 형태의 기축통화 전쟁이 벌어지는 것이 아닙니까?
-시진핑, 위안화 국제화 통해 中 위상 증대
-일대일로 계획, SDR 편입, AIIB 설립 추진
-쌍순환+홍색 공급망=팍스 시니카 구상 실현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위안화를 ‘기축통화’
-中, 글로벌 화폐발행차익을 얻을 수 있는 장점
-달러화, 글로벌 화폐발행차익 매년 118억 달러
-디지털 위안과 디지털 달러 간 기축통화 경쟁
Q.한국은행도 내년에 디지털 원화를 시범 운용하겠다는 방침을 선언했는데요. 디지털 통화 시대에 맞게 준배해야 할 과제가 많지 않습니까?
-디지털 통화 시대, 새로운 통화정책 요구
-네트워킹 효과와 수확체증 법칙, 물가 안정
-중앙은행 목표, 고용창출도 ‘dual mandate’
-정보 비대칭성 전제 중앙은행 주도기능 약화
-중앙은행과 시장 참여자 관계, ‘동반자적’ 전환
-중앙은행 위상, 기준과 시장금리 간 체계 약화
-‘새로움과 복잡성’ 리스크 증대, 금융사고 급증
-한은, 중앙은행 목표 수정 등 사전준비 철저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