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잘못된 대응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큰 경제·사회적 비용을 치른 국가 중 하나로 선정됐다.
27일(현지시간) 일간 코리에레 델라 세라에 따르면 ▲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사망자 수 ▲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국내총생산(GDP) 감소 크기 ▲ 정부 재정적자 증가 폭 ▲ 올해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전망치 등을 기준으로 29개국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평가한 결과 네 번째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 수준이 최악인 국가는 스페인이었고 벨기에와 영국이 나란히 뒤에서 2∼3위를 차지했다.
이들 국가의 공통점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엄청난 인명 피해에 더해 정부의 강력한 봉쇄 정책으로 국가 경제도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것이다.
결국은 정부의 부실한 방역 역량이 막대한 국가적 손실을 초래한 셈이다.
서방권에서 가장 먼저 바이러스 확산 피해를 경험한 이탈리아의 경우 2∼4월 1차 유행으로부터 교훈을 얻지 못하고 방역을 소홀히 함으로써 2차 유행을 부르는 뼈아픈 실책을 범했다.
10월부터 본격화한 2차 유행에 따른 사망자만 1만 명 이상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난 18일 현재 미국 존스홉킨스대 통계 기준으로 이탈리아의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75.68명으로 29개국 가운데 일곱 번째로 많았다.
신문은 이탈리아가 위기를 기회로 만들지 못하고 1차 유행 이후 귀중한 7개월을 그냥 흘려보냈다고 혹평했다.
신문은 바이러스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부 재정 집행의 효과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현재까지 300억 유로(약 39조5천억 원) 규모의 재정을 풀었지만, 실업자와 저소득층, 자영업자 등에 대한 현금 보조·세금 감면 등에 치중했을 뿐 교통·의료·교육 등의 인프라 투자에는 등한시했다.
1차 유행 이후 병상·의료진 등 의료 기반시설에 별다른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신문은 짚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이탈리아의 정부 재정적자 규모는 GDP의 12.98%, 공공 부채는 161.8%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됐다. 평가 대상국 가운데 각각 아홉 번째, 두 번째로 나쁜 수치다.
정부 재정적자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캐나다(19.92%), 부채 비율이 최악인 곳은 일본(266.2%)으로 나타났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