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보험권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위해 민관 대응팀을 꾸리고 본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선다.
금융위원회는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들을 비롯해 헬스케어, 보험업계 관계자들과 `보험업권 헬스케어 활성화 태스크포스(TF)` 1차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어 TF 첫 회의에서 해외 주요국의 헬스케어 산업 동향과 국내 보험사의 헬스케어 진출 방향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먼저 TF에 참여한 서울대 건강금융연구센터는 "보험업계가 새로운 위기와 기회에 동시에 직면해 있는 만큼 개인화와 고객관리, 융합이라는 3가지 방향성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건강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증가한 보험업계가 고객 네트워크와 자본력을 활용해 헬스케어 생태계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서울대 건강금융연구센터는 "국내의 경우 헬스케어 산업의 규제 불확실성 등 내재적 특성과 보험사간 서비스 차별성 부재 등으로 헬스케어 진출이 제한적"이라며 "단기적으로 데이터 중심 역량을 확보하고 중장기적으로 차별화된 건강관리서비스 확대, 헬스케어 플랫폼 생태계 구축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날 회의에 참여한 삼정KPMG는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건강자산과 금융자산의 결합과 분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헬스케어 산업은 대표적 융합산업인 만큼 다양한 서비스들이 끊김 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정부의 규제개선과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 건강데이터와 금융데이터의 융합 촉진, 보험업계의 디지털 헬스기기 활용 확대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검토해 나갈 것"이라며 "TF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자문단과 워킹그룹으로 구분해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