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사진 :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금융시장을 강타했던 라임펀드 사태를 연상시키는 대규모 금융사고가 유럽에 터져 나왔다.
[관련기사] 또 2조 날린 손정의…英 핀테크 스타트업 `파산신청`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03100133&t=NN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관련된 정치인과 관료, 금융회사들이 속속 들어나면서 2007년 전 세계 금융위기를 불러왔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초대형 금융스캔들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 40억달러 IPO 추진했던 다크호스
(사진 : 더 타임즈)
그린실 캐피탈(Greensill Capital)은 지난 2011년 호주 출신 은행가인 렉스 그린실이 설립했다. 집안의 농장경영으로 경험을 쌓은 그린실은 데이비드 캐머런 전 영국총리의 자문역을 지낼만큼 수완이 좋은 사람이었다.
그린실의 주력사업은 `공급망 금융(supply chain finance)`이다. 어렵게 들리지만 우리식으로 풀어내면 일종의 무역(상거래)금융과 다를 것이 없다. 납품(수출)업자에게 물품대금을 할인해서 먼저 지급하고 나중에 납품이 완료되면 주문(수입)업자에게 돈을 받아 그 차익을 챙기는 방식입니다. 기존에는 대형 은행이 제공하던 이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해 온라인으로 처리하면서 `핀테크` 기업으로 급부상한 것이다. 규모가 커지자 독일 등지에 아예 은행을 설립해서 사업을 키웠다.
영국의 찰스 왕세자로부터 여왕 훈장까지 수여 받은 그린실은 일약 `스타`가 되었고. 손정의 비전펀드(15억달러)를 비롯한 다양한 투자자들의 투자가 밀려들었다.
지난해에는 여기에 힘입어 상장을 추진했고, 그린실 캐피탈의 기업가치는 40억달러(우리돈 4.5조원)로 평가 받기도 했다.
◈ 한 순간 추락한 그린실 캐피탈
낮은 이익률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자와 제조업자로 영역을 확장한 그린실은 대금을 지급한 납품업자의 부도율이 높아지면서 휘청대기 시작했다. 공급망 금융 확장 과정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을 모아 펀드로 만들었고, 여기에 투자자를 유치했는데 이 과정에서 지급보증이 필요했다.
채권 부실이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기존 투자자들의 유동성 공급으로 위기를 넘겼지만 자금부족으로 지난 3월초 법원에 파산신청을 하면서 잘나가던 핀테크 스타트업은 무너져버렸다.
◈ 드러난 그린실의 민낯...스캔들로 확산
설립자 그린실은 회사가 어려워지자 파산신청 이전에 자신과 가족들의 자금 2억달러(우리돈 약 2,200억원)를 미리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 스위스의 대형은행인 크레딧 스위스는 그린실 펀드를 공동으로 운용했다가 100억달러(우리돈 약 11조원)의 자금 회수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스위스 금융의 양대산맥인 UBS도 펀드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을 설립했던 독일에서는 예금가입자이 약 3억달러의 돈을 날릴 판이고 미국의 시티그룹도 그린실 펀드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 데이비드 캐머런 전 영국 총리)
국내 라임펀드 보다는 낫지만 현재 관련업계에서는 그린실 펀드의 자금회수율이 30%를 밑돌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파산보호 신청 직전까지 회사를 구하기 위해 그린실은 정치권에도 손을 뻗친 것으로 전해진다. 후견인 역할을 했던 캐머론 전 총리가 감독당국과 민간 금융회사에 압력을 넣었다는 의혹이 불거졌고, 각국 금융감독당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다수 정치인들을 이용했다는 루머까지 확산되고 있다.
◈ 코로나 팬데믹이 불러온 `나비효과`
이번 금융사고는 직접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불거졌다. 만약 예상치 못했던 팬데믹이 없었다면 주식시장 상장과 함께 또 하나의 성공신화로 연결될 수 있었지만 각종 무역과 상거래가 중단되고, 경제가 멈춰서면서 핀테크의 탈을 쓴 전통적인 박리다매형 금융사업은 그 밑천을 드러내고 말았다.
여기에 회사를 살리려던 창업주의 무리한 행보가 초대형 스캔들에 불을 붙였다. 남의 돈으로 리스크와 책임은 거의 지지 않는 `꽃놀이`를 하고 있는 손정의를 비롯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거품 만들기`에도 경종을 울렸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멈춰선 경제와 국민을 살리기 위해 단행된 초저금리와 무제한 돈풀기가 `뜻하지 않은 결과(unintended consquences)`로 이어진 셈이다. 시장에서는 그 어떤 일도 일어날 수 있지만, 이번에 터져나온 스캔들은 극한의 상황에서도 사라지지 않는 인간의 욕망이 얼마나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지 뒤돌아보게 한다.
물론 관련된 정,관,금 인사들은 하나같이 그린실의 사기행각이라며 자신들도 피해자라는 입장이다.
**국내 은행이나 증권사, 자산운용사에서 펀드에 가입했다면 사모,공모에 상관없이 투자설명서를 다시 한번 잘 읽어보기를 권한다. 서류에 Greensill, supply chain finance, General Atlantic, Softbank Vision Fund 같은 이름이 등장한다면 가입한 금융회사에 문의하는게 좋다. 워낙 대형사고라 그 파장이 국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미리미리 확인하는게 좋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