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사 무디스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 스티브 코크레인(Steve Cochrane)이 21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상 전에 아시아 지역은 코로나19를 완벽히 통제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CNBC를 통해 말했다.
지난주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향후 금리인상 시기를 2023년으로 예상했다. 연준은 지난 3월 적어도 2024년은 돼야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몇 달이 채 지나지 않아 금리 인상 예상 시기를 앞당긴 것이다.
CNBC에 따르면 미국의 금리인상은 해외 투자자를 끌어들일 것이고 이를 막기 위해 다른 나라 중앙은행들도 잇따라 금리 인상을 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다. 금리 인상은 많은 자본이 자국을 떠나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너무 빠른 속도라면 경제 침체 위험을 높인다.
코크레인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23년부터 기준금리를 분기마다 한 번씩 25bp(basis point) 인상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 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의 금리 인상 시기 예상치를 한 데 모은 점도표는 2023년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코크레인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을 했을 때 경제가 좋은 상태에 있고 금리 인상에 따른 변화를 잘 견뎌내기 위해서는 아시아 국가들이 코로나19 상황을 잘 통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크레인에 따르면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많은 아시아 경제국가들은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가 다시 급증세를 보였다.
세계은행은 이달 보고서에서 2022년까지 동아시아와 태평양 국가 3분의 2 정도가 경제 생산량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밑돌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크레인은 "한국, 중국, 싱가포르를 포함한 몇몇 국가들은 빠르게 백신 접종을 하고 있지만 계속 그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며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포함한 나라들은 강력한 백신 프로그램 조차 갖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