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기가 본격적으로 도래하고 있다며 금융위원회는 자산시장 급락 가능성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주문했다.
특히 가상자산, 부동산 시장에서의 상당한 영향이 예상된다며 강도 높은 표현으로 금리 인상 위험성을 경고했다.
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은 오늘(2일) 금융리스크 대응반 영상 회의를 주재하면서 "금리 인상이 임박했음을 보여주는 신호가 도처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저금리 상황에 익숙했던 시장 참여자들에게 이제 금리 상승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논의에 대한 언급이 있었으며, 국제통화기금(IMF)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테이퍼링 시점을 내년 상반기로 제시했다.
한국은행도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헸다.
그는 "금리 상승은 그간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에 기반해 역대 최고점 수준을 기록하는 자산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실물경기 회복과 수출 호조에 따른 기업실적 개선 등 견조한 펀더멘털이 뒷받침되고 있는 주식시장과 달리 가상자산·부동산 시장 등은 글로벌 통화 긴축 상황 전개 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급락세를 보이고 일부 가상자산이 거래 중단되기도 하는 등 매우 불안정한 모습이라고 부연했다.
도 부위원장은 "주택 등 부동산 시장 역시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전례 없는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는 것이 많은 국내외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견해"라며 "특히 한국은 소득 대비 주택가격 상승 속도가 주요국의 2~3배 이상"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부동산 시장의 "검은 먹구름이 다가오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 10년 전 기사 이슈로 등장했던 `하우스 푸어`, `깡통전세` 등까지 거론하며 경고 수위를 높였다.
그는 "버블이 끝없이 팽창할 수 없음은 당연한 이치"라며 "부동산 등의 투자에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경각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금융위는 과도한 부채 관리를 위해 전날 확대 시행된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차질 없이 도입하고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은행권에도 상환 능력에 기초한 대출 관행이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위기 상황과 관련해서는 변이 바이러스 등 예기치 못한 요인이 없다면 올해 하반기에는 회복 단계가 본격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회복이 더딘 취약차주의 `유동성 절벽` 예방을 위해 소상공인 경영안정 자금 공급, 추경을 통한 소상공인 피해 지원 등을 예정대로 시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달부터 소규모 자영업 평가가 본격 실시됨에 따라 금융권 신용평가 상황도 지속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