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같이 잘 살아보세"…中증시 흔드는 '공동부유' [김보미의 뉴스카페]

김보미 기자

입력 2021-08-25 17:25   수정 2021-08-25 17:25

    <앵커>
    글로벌 경제 이슈 함께 짚어보는 <김보미의 뉴스카페> 시간입니다.
    첫 번째 이슈 바로 살펴볼까요?
    <기자>
    짤막한 자료영상 하나를 준비했는데요.
    같이 보시겠습니다.
    [리커창 중국 총리: 중국의 1인당 연간 평균소득이 3만위안(약 541만원)입니다. 하지만 6억명의 중저소득층 월수입은 1000위안(약 18만원) 안팎입니다. 1000위안으로는 중형도시에서 집세를 내기도 어렵습니다.]
    지난해 5월, 리커창 중국총리가 중국인들의 평균소득과 관련해서 내놓은 발언입니다.
    중국 전체 인구수가 약 14억명을 넘어서는데요.
    거의 절반 가량이 1000위안, 우리 돈 약 18만원 가량으로 한달을 버틴다는 것입니다.
    월세 1000~1100위안 수준에서 현재 올라와 있는 부동산 물건들을 보시면요.
    지역에 따라 같은 가격이라고 하더라도 내부 상태가 차이가 나겠지만, 열악한 환경의 집들이 대부분입니다.
    리커창 총리의 발언대로라면, 중국 내에서는 이러한 집들 마저도 월세로 내기 힘든 사람들이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오늘의 첫 번째 주제는요,
    바로 이러한 중국의 빈부격차와 굉장히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동부유’입니다.
    <앵커>
    공동부유. 무슨 뜻입니까?
    <기자>
    한마디로 말하면 “다같이 잘 먹고 잘 살자”라는 뜻입니다.
    좀 더 정확하게는 부유층과 기업의 몫을 나눠서 다 함께 잘 살자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공동부유’를 국정기조로 전면화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는 키워드인데요.
    지금까지는 줄곧 `성장`에만 초점을 맞춰왔다면, 이제는 성장과 함께 ‘분배’에도 신경을 쓰겠다는 의미입니다.
    세부적으로 내용을 들여다보면, 분배를 1차, 2차, 3차로 나눠 놓았는데요.
    1차는 시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분배(더 열심히 일한 사람에게 더 많은 이익이 돌아간다), 2차는 국가의 세수나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이뤄지는 분배, 그리고 3차는 가진 자가 도덕적 역량을 발휘해 자발적으로 부를 기증하는 방식을 통한 분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1,2,3차 분배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기초적인 제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 시진핑 주석의 계획인데요.
    시진핑 주석이 이렇게 ‘부의 분배를 통한 공동부유’를 강조하고 나선 것은 빈부격차로 인한 민심 이반을 막고 장기집권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참고로 시진핑 주석의 임기는 내년까지인데요.
    내년 10월에 열리는 20차 당대회에서 3연임에 도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자발적인 부의 기증이라. 과연 가능한 분배방식인지 모르겠는데, 최근 중국에 크게 성장한 기업들이 많잖아요.
    정부가 이걸 빌미로 강제 수금에 나서는 게 아닌가 싶은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기업들이 받고 있는 타격이 앞으로 더 심화될 것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빅테크 기업들을 비롯해서 대기업들이 각종 규제에 휘청이고 있기 때문인데요.
    자료화면을 같이 보시겠습니다.
    중국 정부의 기업 압박은 지난해 11월 알리바바그룹 계열사인 앤트그룹 상장 연기에서 시작됐습니다.
    상장을 불과 이틀 앞둔 시점에 “상장 전 중대사항이 발생했다”며 잠정 보류했는데요.
    이후 게임, 사교육 등으로 기업에 대한 규제 영역이 확대되는 모습입니다.
    몸집을 키운 기업들이 당과 정부에 필적하는 ‘재벌’로 거듭나다 보니, ‘당을 능가하는 자본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기업들을 찍어누르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공동부유’ 정책까지 더해지면서 기업들은 최대한 납작 엎드릴 수밖에 없고, 또 그들이 받는 압박과 피해는 앞으로 더 커질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시진핑 주석의 ‘공동부유’ 발언이 나온 다음날, 텐센트는 500억 위안 우리돈 약 9조원의 자금을 공동부유 관련 프로젝트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는데요.
    텐센트 올해 2분기 순이익이 약 7조7천억원이었으니까, 이보다도 더 많은 규모입니다.
    또 텐센트를 포함해서 중국 6개 빅테크 기업은 올해 2000억위안, 우리돈으로 약 36조원 상당의 기부를 했거나 약속한 상황입니다.
    <앵커>
    이렇게 팔을 비틀어서 뜯어내는 걸 기부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요즘 그때문에 전세계 투자자들이 중국 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많이 꺼리는 상황입니다.
    중국 증시 남은 하반기도 먹구름 아닌가요?
    <기자>
    증권가 리서치센터에 따라 견해가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당장은 적극적으로 비중을 확대하는 것을 경계하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습니다.
    물론 중국 증시는 지난주까지 계속해서 빠지다가, 이번주 들어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달에 알리바바, 바이두, 텐센트 등을 대량으로 매도했던 캐시우드 아크인베스트 CEO 역시 이번주 들어 중국의 빅테크기업 징둥닷컴을 매입하는 등 포지션을 바꾸고 있는데요.
    여기에 대해 증권가에서는 저가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포트를 갖고 가기 위해서는 공격적인 저가매가 아직까지 리스크가 크다, 시기상조다”는 분석들이 많습니다.
    물론 정부의 규제리스크가 증시에 선반영된 측면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해소된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증권가에서는 규제리스크가 어느정도 해소되는 시점으로 빠르면 9월, 더 지난다면 10월 정도를 꼽고 있는데요.
    10월에 국경절 연휴와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D-100’ 등의 이벤트가 있는 만큼, 대외적으로 중국이 안정적으로 올림픽 준비를 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정부로부터 발생하는 잡음을 최소화하려는 모습들이 나타날 것이란 분석입니다.
    업종별로는 정부의 규제 대상이 되고 있는 백주와 같은 소비재, 교육, IT보다는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본토 제조기업 위주로 투자 대상을 좁혀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대표적으로 태양광, 전기차, 반도체 산업 등이 있습니다.
    <앵커>
    본토제조기업이라고 하지만 주로 첨단산업이네요.
    최근 중국 경제지표도 전반적으로 좋지가 않은데, 중국의 `공동부유` 라는 실험이 자국 경제에 정말 도움이 되는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