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 비대면진료라고도 하죠? 해외 원격진료 시장은 계속 성장해 글로벌 기업은 물론 국내 대기업도 해외 시장에 크게 투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시장은 아직 여러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습니다.
연속기획 보도, 오늘은 첫 번째로 코로나19로 급성장하고 있는 원격진료 산업과 국내 관련 산업 문제점을 김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거리가 먼 곳에 있는 의료인이나 환자를 대상으로 의사가 화상통화 등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원격진료.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바이러스는 원격진료의 발전을 불러왔습니다.
특히 미국, 호주, 중국 등 국토 면적이 넓은 나라에서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부족한 의료인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원격진료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코로나 이후 원격의료 이용률은 약 4,300배 증가했고,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19년 약 13조원에서 오는 2025년 145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처럼 수요·시장이 커지고, 의료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글로벌 기업은 원격진료와 관련해 활발하게 사업 확대·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일부 직원을 대상으로 하던 원격진료 서비스 ‘아마존 케어’를 미국 내 전체 직원 대상으로 확대했고, 지난해에는 온라인 약국 서비스인 `아마존 파머시`를 출범했습니다.
아마존 파머시는 출범 전 처방약 유통 업체 `필팩`을 10억 달러에 인수했고, 최근에는 만성질환 약 구독 서비스까지 도입했습니다.
구글은 지난해 미국의 대표 원격진료 업체 `아메리칸웰(암웰)`에 1억 달러를 투자하기도 했습니다.
국내 기업도 예외는 아닙니다.
최근 삼성전자의 투자전문회사 삼성넥스트는 미국의 원격진료 스타트업 `알파메디컬`의 284억원 규모 펀딩에 참여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난 5월, 영국의 원격진료 스타트업 `휴마`의 1,500억원 규모 펀딩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LG그룹 투자회사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구글이 투자를 진행한 암웰의 2,400억 원 규모 펀딩에 참여했습니다.
그러나 국내 시장은 아직 표류중입니다.
의사가 환자를 보는 원격진료 형태는 현재 코로나 심각 단계에서 한시적으로 전화 형태로만 허용했기 때문에 법·제도가 완벽히 정립되지 않았습니다.
[배민철/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사무국장 : 현재 제도적 뒷받침이 한시적으로 묶여있기 때문에 비대면의료(원격진료) 관련 디지털헬스기업들은 법적 지위가 불확실 할 수밖에 없는거죠. 기업들은 법적 지위가 불확실하다보니까 국내 기업간의 투자가 해외에 비해서 저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관련해 속도감 있는 법제화가 이뤄지면,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기업이 발전한 만큼 해외 기업의 국내 투자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게 업계 입장입니다.
한국경제TV 김수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