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보신 것처럼 정부가 `일상회복의 마지막 고비’라며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습니다.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이 달 말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최대 17만명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신동호 기자가 문제점을 짚어 봤습니다.
<기자>
정부가 오미크론 변이의 급속한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권덕철 / 증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 3T 전략으로 대표되는 우리 대응체계를 오미크론 특성에 맞게 새롭게 개편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오미크론의 특성과 보건소의 업무 부담을 감안할 때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방지에 집중하면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방역·의료체계 개편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가장 먼저 재택치료 환자를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 환자로 분류해 집중관리군 환자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하기로 했습니다.
집중관리군은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에서 1일 2회 유선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일반관리군은 정기적인 모니터링 없이 스스로 관리하고 필요하면 동네 병·의원 등에서 비대면 진료나 상담을 받게 됩니다.
재택치료 키트와 생필품 지급도 간소화합니다.
재택치료 키트는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 확진자에게 지급하는 등 꼭 필요한 환자 위주로 키트를 빠짐 없이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역학조사도 효율화해 확진자가 직접 웹페이지에 접속해 접촉자 등을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조사서`를 도입하고, 조사 항목도 단순화합니다.
오미크론이 국내에서 지배종으로 자리 잡으면서 최근 사흘 연속 3만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고 재택치료자만 15만명에 달하는 등 확산이 거세지자 고위험 중증·사망 방지에 집중하기 위해 오미크론 맞춤형 방역·의료체계로 개편한 겁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개편에 대해 위중증 사망은 감소 추세를 보이지만 확진자 규모가 단기간 내에 급증할 경우에는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고 의료 대응에도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여기에 정부가 고위험군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면서 일반환자군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사실상 중단된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특히 정부의 계획과 달리 동네 병·의원의 재택치료 참여율이 더딘 것도 문제입니다.
코로나19 진단·치료 등에 참여하는 동네병원(호흡기 진료 지정의료기관)은 779곳까지 늘었습니다.
당초 참여 의사를 밝힌 병원이 1,938곳인 만큼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지만 검사키트나 보호장구 구매, 동선분리 등 방역당국의 지원없이 개별 의원에서 준비해야 할 부분이 많아 시간이 지체되고 있는 상황.
방역당국이 선택과 집중의 방역체계 전환을 했지만 오미크론 정점의 예측이 어렵고 확진자의 급증이 중증 환자의 급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연쇄적 파장도 조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난해 11월 위드 코로나를 시행하면서 위중증 환자가 급증해 의료체계가 붕괴될 뻔 했던 경험 역시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신동호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