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권 "친러 유튜브 채널 제재해야"…구글은 '골머리'

입력 2022-02-25 10:46  


영미권 국가들이 친러 콘텐츠를 실어 나르는 영상을 제재해야한다며 구글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구글이 이같은 압박을 받으며 딜레마에 빠졌다.

유튜브는 오랫동안 러시아 정부 비평가들과 국영 미디어들에게 인기 있는 플랫폼으로 인식되며 영향력을 확보했는데, 러시아와의 상업적 관계를 끊으면 광고 수익과 대외적인 이미지 등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진단이다.



영미권 국가들은 친러 유튜브를 선별해 제재 대상에 올리고 있다. 한 예로 유럽연합(EU)은 블라지미르 솔로비요프라는 러시아의 TV·라디오 저널리스트를 제재 대상에 올렸다. EU는 솔로비요프를 두고 “우크라이나에 극도로 적대적인 태도와 러시아 정부에 친화적인 인물로 유명하다”고 보고서를 통해 평가했다.

솔로비요프는 114만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단행했을 때 실시간 방송을 진행했고 방송 시작 후 첫 9시간 만에 27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이처럼 영향력이 큰 친러 유튜브의 콘텐츠가 정보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0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관련된 유튜브 채널이 한 예다.

지난 21일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친러시아 분리주의자들이 장악한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 지역에 대한 미국인의 신규 투자 및 무역, 금융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이후, DPR과 관련된 한 유튜브 채널은 하루 동안 우크라이나 분쟁과 관련한 25개 동영상을 업로드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의 제재가 가해졌다는 사실이 부각되는 것을 막고 대중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 의도로 해당 영상들을 올렸다는 것이다.

이같은 상황을 두고 미 안보선전분석업체 오멜라스는 구글과 러시아 정부의 깊은 관계에 대해 언급했다.

오멜라스 측은 “구글은 러시아 기업 및 개인과 광고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면서 “기존 법을 어기는 것은 아니지만 러시아 정부와 가까운 단체와 상업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 “대중에 대한 영향력으로 따지면 친 크렘린 성향의 유튜브 채널이 러시아 국영 항공사보다도 (영향력이) 막중하다”고 전했다. 러시아 정부와 관련된 채널의 콘텐츠들은 약 800억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구글은 이전에도 정치적 문제로 러시아와 얽힌 적이 있어 딜레마가 심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해 12월 러시아 법원은 유튜브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제재 동맹국이 소유한 계정을 차단하자 회사가 매일 두 배씩 벌금을 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한편 이날 유튜브 측은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사진=연합뉴스, 유튜브 캡처)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