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제유가를 비롯한 각종 가격변수가 상징성이 큰 선을 잇달아 돌파하고 있는데요. 그 움직임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 각종 가격변수, 최후 보루선 ‘final draw’ 돌파
- 국제유가, WTI 기준 장중 한때 130달러 돌파
- 국제금값, 장중 한때 온스당 2000달러 재돌파
- 달러인덱스, 2020년 3월 이어 100선 돌파 시도
- 원?달러 환율, 1220원 돌파 후 1230원 근접
- 각종 가격변수, 최후 보루선 ‘final draw’ 돌파
- 언론과 전문가 진단 과다…체감수준은 더 높아
- 추가 매수냐? vs 차익 실현이냐?
- 포모족(FOMO) 뒤늦은 매수, 전쟁 끝나면 어떻게?
Q. 특히 오늘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달러 돌파 여부를 두고 관심이 많죠?
- 재고 부족, 원자재 가격 ‘백워데이션’ 지속
-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 선물과 현물 간의 가격 역전현상
- 백워데이션 발생하는 ‘원자재 범위’ 확대
- 골드만삭스 “We’re out of everything”
- 재고 부족 원인, 우크라 사태 때문만은 아냐
- 증시, 비용인상發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
- JP모건
- 유가 150달러→스태그플레이션 닥칠 것
- 2022년 세계 경제 성장률 4.1%→0.9% 급락
- 세계 인플레이션율 3%→7.2% 급등할 것
Q. 이런 가운데… 이틀 후, 현지 시간 10일에 발표될 미국 2월 소비자물가가 과연 어떻게 나올 것인가도 최대 관심이 되고 있지 않습니까?
- 美 2월 소비자물가, 크게 2가지 관전 포인트
- 중국 PPI 12월 peak out, 미국 CPI도 peak out?
- 3월 FOMC 직전 발표, 금리인상과 양적긴축 영향
- 美 2월 소비자물가 발표 앞두고 ‘WSJ 악몽’
- WSJ 주도, 1월 소비자물가 예상치 7.2%로 굳어져
- WSJ 악몽, 실제 7.5% 발표…주가 폭락
- 2월 예상치 7.7%∼7.8%…8% 넘어서면 주가는?
Q. 말씀대로 2월 소비자물가가 높게 나올 경우 다음 주에 있을 3월 FOMC 결과도 증시에 만만치 않은 부담이 되지 않겠습니까?
- 3월 FOMC, 주요 관심 사항 확인
- 파월 연임과 FOMC 진영 갖춘 후 ‘첫 회의’
- 매파 인사 많아진 후 점도표에 어떤 변화?
- 경제전망 수정치 발표, 스태그플레이션 신호?
- 3월 FOMC, 주요 관심 사항 확인
- 80년대 초, 폴 볼커의 방식 취하느냐 관심
- 0.5%p 빅스텝 인상 논쟁, 향후 증시 초점
- 금리인상과 양적긴축를 연계하는 문제
Q. 앞서 우리 경제는 유가 등 cost push에 취약하다고 말씀하셨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왜 미국의 절반 수준도 되지 않는 걸까요?
-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미국 한국
7.5% 3.6%
- 韓 물가, 美의 절반에도 못 미쳐…통계조작?
- 한은, 美보다 물가 낮은데 금리는 왜 올리나?
- 주요인, 집값 등 주거비 가중치와 범위 차이
- 집값 등 주거비 가중치와 범위 차이 ‘주요인’
- 집값 등 주거비 반영 정도…美 32% vs 韓 9.7%
- 만약 집값이 20% 상승시
- 소비자물가 상승률, 美 6.4% vs 韓 1.9%
- 韓 소비자물가 산출
- 통계조작보다 통계함정 ‘더욱 정확’
Q. 작년 8월 이후 한국은행이 금리를 이미 세 차례나 올리지 않았습니까? 물가통계에 함정도 그렇습니다만 성장률도 미국에 비해 아주 낮지 않습니까?
- 韓 경제, 비용요건 상승으로 ‘슬로플레이션’
- 금리인상·유가상승·임금상승 등 신3고 현상
- 올 성장률 3%로 둔화, CPI상승률 3%대 상승
- 韓 경제, 비용요건 상승으로 ‘슬로플레이션’
- 특히 성장률 문제, 1월 IMF 전망 3.0% 하향
- 美 4%보다 낮고, 日 3.3%에 24년 만에 역전
- 이달 들어 성장률 2%대, CPI 상승률은 4%대
- 슬로플레이션에서 스태그플레이션 악화 논쟁
Q. 이 시간을 통해 여러 차례 언급하셨습니다만 금리를 먼저 올렸던 한국은행도 사실상 난처한 입장에 처하고 있지 않습니까?
- 한은, 작년 8월부터 ‘3차례 금리인상’ 도마
- 주요국 중 ‘가장 빨리, 가장 많이’ 올려
- 경기둔화와 주가하락 본격화된 1월에도 올려
- 한은의 샤워실 바보, 프리드만의 ‘자의성’ 비판
- 韓, 경기·물가·금리 간 트릴레마 국면
- 경기부양 목적, 기준금리 내리면 인플레 우려
- 물가안정 목적, 기준금리 올리면 경기 더 둔화
- 트릴레마 해법 ‘틴버겐 정리’
- 목적 수만큼 정책 수단 마련
Q. 최근 들어 인플레 용어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요. 주가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끝으로 말씀해 주시지요.
- 최근 인플레와 관련 용어 ‘한꺼번에 쏟아져’
- 정책당국과 주식 투자자 ‘모두 곤혹’
- 인플레 요인 ‘cost push vs demand pul’
- 비용상승 인플레, 그린플레이션과?애그플레이션
- 물가상승속도 따라 마일드?캘로핑?하이퍼 인플레
- 최근 인플레와 관련 용어 ‘한꺼번에 쏟아져’
- 성장률과 결부, 디플레·스태그플레이션·골디락스
- grey area, 슬로플레이션·리플레이션·디스인플레
- 요즘 뜨는 공유경제와 관련 ‘데모크라플레이션’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이었습니다.
한국경제TV 제작1부 정연국 PD
ykjeon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