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우려로 주식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은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예적금 시대`가 다시 돌아왔습니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가계 자금이 안전 자산인 정기예적금으로 쏠리고 있는 건데, 앞서 보셨다시피 정기예금 수익률이 적금보다 더 높다는 분석리포트도 보셨는데요.
전 기자, 실제 이자를 조금이라도 더 주는 예금 통장으로 금융소비자들이 몰리고 있다고요.
<기자>
네, 맞습니다. 혹시 짠테크라고 아시나요.
<앵커>
말 그대로 짠 재테크 아닌가요?
<기자>
정답입니다. `짜다`와 `재테크`의 합성어가 짠테크 입니다.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위험자산 투자에 경고등이 들어오자 최근 소액이라도 예적금 등 안전자산에 돈을 모아두려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최근 이런 바람을 타고 은행권에서 처음으로 토스뱅크가 `일복리` 예금 통장을 내놓았는데,
예적금이 다시 투자수단으로 각광받으면서 이른바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짠테크족들의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토스뱅크의 일복리 상품은 지난 16일 출시 이후 이틀만에 41만명이 이용했고, 출시 6일만인 어제(21일) 기준 이용자가 77만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앵커>
일복리 상품은 생소한데, 어떤 개념인건가요?
<기자>
우선 이자율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단리`와 `복리`, 두가지가 있는데요.
단리는 원금에 대해 정해진 이자율만 곱해 이자를 주는 것이고, 복리는 원금과 이자를 합한 잔액에 대해 이자를 주기 때문에 복리계산법이 이자가 더 높습니다.
시중은행의 정기예금은 보통 `단리` 이자계산법을 적용하고 있는데요.
토스뱅크는 언제든 돈을 넣었다 뺄 수 있는 예금통장인 이른바 파킹통장에 `하루단위 복리` 효과를 내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매일 토스앱에 접속해서 `지금 이자받기` 버튼을 누르면 원금에 이자를 더하고 다음날 그 금액에 다시 이자가 붙는 `일 복리` 효과 볼 수 있는 거죠.
<앵커>
그래도 잘 와닿지 않은데, 단리 상품과 일복리 상품은 이자가 얼마나 차이나는 겁니까?
<기자>
같은 원금, 같은 금리로 1년간 토스뱅크 일복리 예금 상품에 가입했을 때, 또 시중은행의 일단 단리 예금 상품에 가입했을 때 이렇게 두 경우로 나눠서 이자가 얼마나 붙는지를 비교해봤습니다.
예컨대 연 2% 금리를 주는 토스뱅크 통장에 1천만원을 1년간 예치하고 매일 `지금 이자받기`를 적용할 경우 총 이자는 17만5,533원이 됩니다.
같은 조건에서 `지금 이자받기`를 매일 클릭하지 않을 경우 약관에 따라 매월 복리 이자가 지급되는데요, 이땐 17만179원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그렇다면 시중은행 2% 정기예금의 경우는 어떨까요. 1년 예치시 이자는 16만9,200원으로 일복리 토스예금과 비교했을 때 6,300원 정도 차이가 납니다.
<앵커>
실제 따져보니 단리 상품과 일복리 상품간 이자 차이는 크지 않네요. 그런데 왜 이렇게 호응이 좋은거죠?
<기자>
혜택이 그렇게 크지 않아 보일 수 있지만, 금융소비자들은 소액이라도 꾸준히 저축해서 목돈을 마련한다는 데 의미를 두고 있는 겁니다.
또 매일 이자를 버는 재미와 보람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소소한 앱테크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해석도 있습니다. 주식과 가상자산, 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시장 저점 타이밍 투자를 위해 이른바 총알, 즉 현금을 보유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잠시 맡겨둬도 연 2%에 일복리 이자를 주는 파킹통장이 인기라는 거죠.
<앵커>
그럼 시중은행에는 복리 예금상품은 없는 건가요.
<기자>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를 통해 조사해봤는데요.
시중은행의 복리 정기예금 상품은 국민은행 3개, 광주은행 1개, 이렇게 4개가 있었고요, 복리 적금 상품은 산업은행, 하나은행, 수협은행 등 3곳에서 각각 1개씩 출시돼 있었습니다.
이렇듯 시중은행 통 틀어서 복리 예적금 상품이 10개도 채 되지 않는 건, 소비자들의 니즈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복리의 마법`은 은행 금리가 10%였던 1990년대 말에는 `재테크의 진리`라고 했을 정도로 효과가 컸지만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되면서 복리의 극대화를 누리기 매우 어려웠던 거죠.
하지만 지금과 같이 금리가 계속 오를 땐 장기간 돈을 묶어두고 싶다면 확실히 복리가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앵커>
최근 예적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건 시중은행에서도 금리상승기를 맞아 고금리 상품을 내놓고 있는 것도 이유일텐데요.
이런 고금리 상품에 투자하는 것도 예적금 재테크 방법이지 않을까요.
<기자>
시중은행의 예적금 상품 투자는 특정조건을 만족할 경우 정기예금의 경우 최고 연 2%대, 적금은 연 4%대 금리를 받을 수 있어 쏠쏠한 재테크 재미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높다고 무턱대고 가입해선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은행들이 높은 금리를 준다는 건 그만큼 해당 고객이 자신의 은행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본다고 보면 되는데요.
은행권의 4%대 적금은 주로 첫 거래고객에게만 해당이 되고요.
또 높은 이자를 준다며 가입을 유도한 뒤 급여 이체, 신용카드 사용실적 등 까다로운 각종 우대조건을 붙이기도 하는 만큼 조건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월 납입 한도도 확인해야 하는데요. 돈을 불리고 싶은데 매월 넣을 수 있는 돈이 적다면 그만큼 받는 이자도 적을 수 밖에 없겠죠.
이 때문에 금리상승기엔 정기예금의 경우 중도해지의 부담 없고 변동식 금리를 적용한 짧은 만기의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합니다. 이 부분은 전문가 인터뷰로 확인해보겠습니다.
[한수연 / 우리은행 TCE강남센터 부지점장 : 요즘과 같은 변동시장에서는 언제든지 현금화가 가능하지만 연 1% 내외의 금리를 제공하는 MMF(머니마켓펀드), RP(환매조건부채권), 1개월 회전형 정기예금과 같은 현금성 자산의 비중을 20~30% 정도 가져간다면 향후 위험자산을 저가 매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김학수 / 하나은행 압구정PB센터 팀장: 금리가 상승하니깐 1년보다는 6개월로 (예금을) 돌리는 게 유리하겠죠. 적금 같은 경우에는 장기로 계약하는 것보다는 좀 더 짧은 1년짜리가 더 낫습니다. 요즘은 적금보다 예금을 많이 하거든요. ]
<앵커>
전 기자, 마지막으로 오늘의 주제를 한줄로 요약해주신다면요. 유튜브용 해시태그도 부탁드립니다.
<기자>
한줄평은 예적금 재테크 시대, 다시 돌아왔다.
해시태그는 #10년 전 복리예금 돌풍 재연 #짠테크족 주목 #이자로 부자되자 이렇게 하겠습니다.
<앵커>
네, 오늘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