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넷플릭스, 테슬라에 이어 지난 주말에는 아마존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요, 특이사항을 중심으로 정리해 주시지요.
- 美 증시, 빅테크 위기로 ‘검은 금요일’ 충격
- ’밈과 망의 상징’ 넷플릭스?아마존 ‘실적 쇼크’
- 또 하나의 상징인 테슬라 ‘반사회적 행위’ 가세
- 코로나 주가 상승 요인 ‘어닝 서프라이즈’ 마감
- ‘깜짝 실적’ 발표 기업 비중
- 작년 2분기 작년 3분기 작년 4분기
- 91% 39% 22%
- 올해 9.4% 예상, 1분기 실적 발표 후 2%대 하향
- 월가, ‘경기침체와 어닝쇼크’ 논쟁 휩싸여
Q. 지난주 금요일 이 시간을 통해서도 잠시 언급해 주셨습니다만 아마존의 주가 폭락은 어느 정도 예상됐던 일이지 않습니까?
- 바이든 대통령, 국민의 화합과 통합 강조
- 기업 혹은 계층 간 양극화, 민주주의 위협
- 경쟁 없는 자본주의, 자본주의 아니라 착취
-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장 ‘리나 칸’ 임명
- 아마존 반독점의 역설로 ‘아마존 킬러’ 별명
-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 각종 비용 전가 금지
- 테크래시 본격화, 빅테크 주가 상승세 둔화
Q. 지난 3월 말, 테슬라의 주식분할을 계기로 빅테크 기업을 보는 시각이 심상치 않다고 계속 짚어주셨는데 아마존도 테슬라 이상으로 사회적 시각이 부정적인 분위기죠?
- 아마존, ‘테크래시’ 용어 낳게 한 원조기업
- tech-lash=technology+backlash 합성어
- 정부의 빅테크 규제와 빅테크 기업의 반발
- 코로나 사태 계기, 빅테크 기업 전성시대
- 빅테크 ‘bonanza’, 저소득층 ‘scaring’ 효과
- 사회주의 ‘인민’ 민주주의 ‘저소득층’ 중시
- 국가 vs. 빅테크 ‘힘겨루기’…테크래시 확산
- 美, 빅테크 기업 규제
- 경쟁사 인수 제동 킬러 인수 제한, 플랫폼 독점 종식법 추진 등
- 소비자 권리 강화 애플 등 제품 수리권 확대
- 직원 권리 보호 핵심 인재의 경쟁사 이직 제한 완화 등
- 망 중립성 확보 콘텐츠 기업 경쟁 촉진 활성화 도모
- 경쟁정책 강화 연방거래위원장에 ‘아마존 킬러’인 리나 칸 임명
- 자료 : 한국경제신문
Q. 태크래시 문제가 다시 불거지는 것을 계기로 연방거래위원회가 빅테크 기업들 쪼개기로 독과점 횡포를 막지 않을까 싶은데요?
- 칸, ‘반독점과 뉴 브랜다이즈 운동’ 논문 저자
- 독과점 기업, 소비자후생 감소시키지 말아야
- 해당 전제조건 훼손시, 어떤 형태로든 규제
- 아마존, 물적 분할 통한 독과점 횡포 금지
- 월가에서 ‘아마존 킬러’라는 별명 붙은 이유
- 머스크, 주식분할과 적대적 M&A 추진 ‘주목’
- 독과점 기업 임원, 권력 남용하는 행위 ‘최대의 적’
- FTC, 기업 쪼개기와 같은 급진적 조치로 대처
Q. 빅테크 기업들의 앞날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월가에서는 미국경기 침체 논쟁과 함께 기업실적 논쟁이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고 하죠?
- 월가, ‘서머스 vs. 옐런’ 美 경기논쟁 관심
- 글로벌 IB들도 ‘美 경기’에 대한 시각 엇갈려
- 텍스트 마이닝 기법, 침체 우려 갈수록 많아
- 칸과 브레이너드, 빅테크 실적 개선 어려워
- ‘킬러 인수’ 제한, 과거 M&A 승인 모두 재검토
- 각종 플랫폼 독점 종식 법률안 제정 추진
- 애플·아마존 등 자사제품 수리권 제한 다변화
- 빅테크 기업과 글로벌 IB 간 공생과 결탁 제한
Q. 아마존 사태를 계기로 다른 나라 상황도 알아보죠. 사실 태크래쉬 문제를 미국보다 먼저 더 강력하게 추진한 국가가 중국이지 않습니까? 현재 어떤 상황입니까?
- 中, 빅테크 기업 규제
- 해외상장 제한 회원 100만명 이상 인터넷 기업의 해외상장 허가제 도입
- 빅데이터 공유 민간기업 보유 데이터를 국가와 공유할 수 있도록 요구
- 반독점 규제 인터넷 기업에 대한 반독점법 적용범위 확대
- 금융업 규제 은행급 감독 받는 금융지주사 설립 의무화
- 지배구조 강화 지분없이 기업을 지배하는 가변이익실체(VIE) 규제
- 자료 : 한국경제신문
- 시진핑 정부, 빅테크 기업 대상 ‘전방위 견제’
- 곤혹스러운 中 기업
- 알리바바·텐센트·디디추싱·바이트댄스 등
Q. 중국과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은 어떻습니까? 정도의 차가 있긴 하겠습니다만 테크래시는 세계 모든 국가가 당면한 문제이지 않습니까?
- 유럽 등 타국, 역외 빅테크 테크래시 문제
- EU, FAANG 등 美 빅테크 반독점 벌금 부과
- 디지털세 부과, 글로벌 최저세율 합의로 중단
- 디지털 시대 맞춰 ‘디지털 다자통상규범 시대’
- 디지털 경쟁정책 라운드, 빅테크 독점 규제
- 디지털 블루 라운드, 빈곤층 고용 차별 방지
- 디지털 기술 라운드, APT와 랜섬웨어 차단
- 디지털 환경 라운드, 무관세 모라토리움 방지
Q. 우리도 테크래시 문제로 작년 하반기부터 카카오를 비롯해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까?
- 작년 7월, 카카오 모빌리티 ‘블루’ 문제 발생
- 일반 유료회원, 정작 ‘뒷전으로 밀려’ 볼멘소리
- 배달 서비스·골프장 이용 등에서 빈번히 문제 발생
- 작년 7월, 카카오 모빌리티 ‘블루’ 문제 발생
- 관련업체, AI로 배차한다고 ‘알고리즘 핑계’
- 해당 플랫폼에 특정변수 가할 경우 결과 달라
- 정책당국과 민주당, 카카오 비롯한 빅테크 규제
- 카카오 등 관련 종목 주가, 그때 충격 지속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한국경제TV 제작1부 정연국 PD
ykjeon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