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산란계(식용 계란을 낳는 닭) 한 마리당 순수익이 이전해의 일곱 배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 생산비가 올랐지만 조류독감(AI)의 확산으로 원산지 가격이 급등한 결과로 분석된다.
24일 발표된 통계청의 `2021년 축산물 생산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계란 생산비는 이전해와 비교해 14.1% 상승하며 조사 대상 품목 중 가장 높았다. 이어 비육돈·육계 7.9%, 한우비육우 6.0%, 육우 5.2%, 우유 4.2% 등의 순이었다.
품종별 순수익을 살펴보면 이전해와 비교해 산란계가 일곱 배(658.0%), 한우비육우가 다섯 배(406.9%) 넘는 이익을 남겼다. 이 밖에 육계(69.9%), 비육돈(44.9%), 한우번식우(8.9%) 등도 수익성을 키웠는데 축산물 판매 가격 상승이 배경으로 꼽힌다.
가장 높은 이익 성장률을 보인 계란의 경우 2021년 10개당 생산비는 전년 대비 14.1%(133원) 증가한 1,083원으로 집계됐다. 원인으로는 가축비 및 사료비 상승이 거론되는데 이전해와 비교해 각각 31.7%, 21.3% 증가했다.
실제로 산란계(병아리) 한 마리당 산지가격은 2020년 1,038원에서 2021년 1,694원으로 63.3% 올랐다. 배합사료 역시 킬로그램(kg) 당 408원이었던 것이 457원(11.9%)이 되며 계란 생산비 상승을 이끌었다.
이렇듯 계란 생산비가 올랐지만 높은 가격이 이를 상쇄하며 수익성을 뒷받침했다. 2021년 산란계 마리당 순 수익은 2만 원에 달했는데 이는 이전해(2020년) 2,590원보다 1만 7천 원(658.0%) 높은 수준이다.
조류독감(AI) 확산이 계란 산지 가격을 끌어올린 것이 주효했다. 농협 조사에 따르면 특란 10개 당 산지가격은 2020년 1,105원에서 2021년 1,796원으로 62.5% 증가했다.
추가로 젖소 순수익은 이전해 보다 8.5% 감소하며 마리당 234만 원에 그쳤고, 육우는 마리당 23만 원 손해로 적자 규모를 줄였다. 젖소의 경우 사육비(3.6%)가 총수입(0.6%)보다 높게 상승하면서 순이익을 깎아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