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D램 수요 증가율이 역대 최저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내년 D램의 비트 단위 수요 증가율을 8.3%로 예상했다. 연간 D램 수요 증가율이 한 자릿수에 그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트렌드포스는 설명했다.
내년 D램 공급 증가율은 14.1% 수준으로 예상됐다.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이 늘어나면서 가격 하락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년 낸드플래시의 수요와 공급 증가율 전망치는 각각 28.9%, 32.1%로 D램보다는 수요 성장세가 비교적 견조할 것으로 예상됐다.
트렌드포스는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으로 PC와 노트북 등 메모리 시장 수요가 위축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메모리 제조사들이 재고 조정 작업을 벌이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메모리 반도체 업계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급증한 비대면 수요 덕분에 호황을 누렸지만,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메모리 사이클에 따라 지난해 말부터 가격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특히 올해 하반기 들어 세계 경기침체 우려와 인플레이션으로 스마트폰과 PC 등 IT 제품 수요가 위축됐고, 기업들의 서버 투자도 보수적으로 전환되면서 메모리 가격 하락세가 본격화됐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PC용 D램 범용제품의 고정거래 가격은 전월보다 14.0% 떨어졌고, 메모리카드·USB향 낸드플래시 범용제품의 고정거래 가격도 전월보다 3.8% 하락했다.
시장에서는 당분간 메모리 가격 하락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신한금융투자 최도연 연구위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매크로 이슈로 인해 완제품 출하량이 예상을 하회하면서 메모리 재고가 늘고 있다"며 "전방 업체들이 메모리 주문량을 기존 계획보다 빠르게 축소함에 따라 가격 하락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메모리반도체는 국내 대표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력 사업인 만큼 메모리 업황 둔화는 두 회사 실적에도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의 집계를 보면 올해 1분기 D램 시장 점유율(매출기준)은 삼성전자가 42.7%로 세계 1위였고, SK하이닉스는 27.1%로 2위였다. 같은 기간 낸드플래시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35.5%로 역시 1위였고, SK하이닉스는 18.1%로 3위였다.
(자료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