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CPR) 시행률이 과거보다 높아졌지만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보다는 한참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6년 16.8%, 2017년 21.0%, 2018년 23.5%, 2019년 24.7%, 2020년 26.4%로 증가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병원 도착 전에 `근무 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비율을 뜻한다.
이런 비율은 영국 70.0%, 미국 40.2%(이상 2020년) 등 주요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일본의 경우 2013~2015년 50.2%로 2020년 기준 한국의 2배에 가까웠다.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퇴원율은 한국이 7.5%로, 미국 9.0%, 영국 8.3%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시도간 편차도 큰 편이었다. 2020년 서울이 40.7%였고 대구는 35.1%였지만, 광주와 경북은 각각 12.8%, 15.5%에 그쳤다.
정부는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교육을 받은 사람의 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크게 줄었다. 2017년 66만5천명, 2018년 69만4천명, 2019년 67만3천명이었던 것이 2020년 14만8천명, 2021년 18만6천명으로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복지부의 2023년 예산안에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비 지원 예산은 올해(18억원)보다 8.3% 감액된 16억5천만원으로 편성됐다.
남 의원은 "현재의 응급처치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자동 심장충격기(AED) 보급도 확대해야 한다"며 "10.29 참사를 계기로 응급처치 교육비 지원 예산을 대폭 증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