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서울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들어 팬데믹 직후보다 공실률이 개선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18일 서울연구원의 `코로나의 서울 자영업 영향과 보편적 재난지원금 효과` 보고서와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2020년 서울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가파르게 높아졌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분기 3.9%였으나 2020년 1∼4분기 각각 4.0%, 4.2%, 5.7%, 7.5%를 기록했다.
지난해는 1분기와 2분기 6.5%, 3분기와 4분기 6.7%, 올해는 1분기 6.2%, 2분기 6.1%, 3분기 6.3%로 집계돼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공실률이 가장 높았던 2020년 4분기(7.5%)를 팬데믹 직전과 비교하면 3.6%포인트 높아진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도심의 공실률이 2019년 4분기 3.5%에서 2020년 4분기 10.5%로 뛰었고, 소규모 상가가 밀집한 영등포·신촌도 같은 기간 2.9%에서 7.8%로 치솟았다.
강남은 코로나19가 발현한 2020년에도 그 이전과 비슷한 2%대 공실률을 유지하다가 2021년 3분기 5.4%, 4분기 4.9%로 높아졌다.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누적되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에 따른 서울 자영업에 직접적 피해가 확인됐다"며 "특히 도심은 외국인 관광객 등의 영향력이 커 공실이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로 자영업자 매출이 급감한 것도 수치로 확인된다.
서울 지역 자영업의 연간 매출 증감률은 2018년 2.9%, 2019년 2.7%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2020년은 감염 우려와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등으로 전년 대비 9.1% 감소했다.
2020년 7월부터 2021년 2월까지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늘면 매출이 줄어드는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2021년 3∼9월은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매출 간 상관관계가 약해졌다. 이는 영업 제한,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책적 개입이 들어갔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이발소·미용실, 커피·음료점, 음식점, 목욕탕, PC방 등 대면서비스업과 관광여행사 등의 매출이 2019년 증가세에서 2020년 감소세로 전환했다.
(자료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