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면화 생산' 직격탄…기저귀·탐폰 가격 들썩

입력 2023-02-19 13:23  



기후변화로 잦은 가뭄이 이어지면서 면화 생산이 급감한 탓에 기저귀 등 주요 생필품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 지역의 육지면(upland cotton·목화의 일종) 농장은 지난해 전체 재배 규모의 74%에 달하는 600만 에이커(약 2만4천㎢)의 작물을 포기해야 했다.
가뭄으로 땅이 뜨겁게 달궈지고 마르면서 수확이 힘들 만큼 작황이 나빠져서다.
미 최대 면화 생산지 텍사스의 흉작으로 인한 공급량 감소는 이를 원자재로 하는 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시장조사업체 닐슨IQ와 NPD그룹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미국 내 탐폰 가격은 13% 뛰었고 면 기저귀는 21%, 솜과 거즈는 각각 9%, 8%씩 값이 올랐다. 작년 미국 물가 상승률이 6.5%였던 점을 고려하면 유독 면 소재 제품 가격이 기록적 상승세를 보인 셈이다.
비영리 단체 `미래를 위한 포럼`에 따르면 2040년에는 전 세계 면화 재배지의 절반이 가뭄이나 홍수, 산불 등으로 심각한 기후 위기에 처할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농생물공학회(ASABE)의 2020년 연구 결과도 오는 2036∼2065년 애리조나 면화 생산량이 1980~2005년과 비교해 40%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NYT는 텍사스 면화 생산량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나날이 고갈돼 가는 오갈라라(Ogallala) 대수층(지하수를 함유한 지층)을 지목했다. 이 대수층은 와이오밍에서 텍사스에 이르는 미국 8개 주 아래로 길게 뻗어 있는데, 남서부 목화 농가는 지난 수십 년간 이곳에서 퍼 올린 지하수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2018년 미국기후평가(NCA) 보고서는 "오갈라라 대수층의 주요 부분들은 이제 재생 불가능한 자원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향후 50년간 오갈라라 대부분의 지역에서 가뭄 기간이 늘어나고 그 피해도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도 내놨다.
대수층 고갈뿐 아니라 기온 상승, 가뭄 증가 등이 이어질 경우 1930년대 미국을 덮쳤던 `더스트볼`과 같은 먼지폭풍이 다시 돌아올 수 있다는 경고까지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산 면화 수입 금지 조치와 기름값 상승, 복잡한 물류 등 요인도 면 제품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장조사 및 마케팅 업체 코튼사의 존 데바인 이코노미스트는 "원자재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면제품이 탐폰과 거즈 등 제품"이라며 "노동력이나 제조과정이 거의 필요치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NYT는 이러한 면제품 가격 급등 현상은 기후위기가 전 세계 소비자의 일상생활에 앞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사례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