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업권 부동산 PF가 향후 취약요인" 우려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가계부채와 부동산시장 침체를 꼽았다.
3일 한국은행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들이 리스크 1순위 요인으로 가장 많이 지적한 것은 '부동산 시장 침체'(18.4%)였다.
'기업 업황 및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13.2%), '국내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확대'(10.5%), '금융기관 대출부실 및 우발채무 현실화, 대규모 자금인출 가능성'(10.5%), '경상수지 적자 지속'(7.9%) 등이 뒤를 이었다.
중요도와 관계없이 응답자들이 선택한 5개 주요 리스크 요인을 집계한 결과 대내 요인으로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 부담 증가'(53.9%), '부동산시장 침체'(48.7%),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대규모 자금인출 가능성'(43.4%) 등이 주로 우려됐다.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의 통화정책 긴축 장기화'(28.9%)를 지목하는 이들이 많았다.
지난해 11월 실시한 조사와 비교하면 부동산시장 침체와 경상수지 적자를 리스크 요인으로 꼽은 응답이 크게 늘었다.
부동산시장 침체를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한 응답자 비율은 지난해 11월 36.1%에서 이번 조사에서 48.7%로 높아졌다. 경상수지 적자는 이번 조사에서 신규 리스크 요인으로 선정됐다.
반면 단기자금 시장 안정과 유가 하락 등으로 '기업의 업황 및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62.5%→42.1%),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 차질에 따른 인플레이션'(34.7%→22.4%)를 리스크 요인으로 꼽은 응답률은 낮아졌다.
향후 취약성이 가장 부각될 것으로 판단되는 금융업권으로는 응답자 대부분이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중·소형 증권사, 캐피탈사 등 비은행업권을 지목했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취약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달 5∼17일 진행된 올해 상반기 설문조사에는 국내 금융기관 경영전략·리스크 담당자, 주식·채권·외환·파생상품 운용 및 리서치 담당자, 금융·경제관련 협회 및 연구소 직원, 대학교수,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총 76명이 응답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