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청소년이 최근 4년새 8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8~2022년 ADHD 진료인원 현황' 자료를 보면 2018년 ADHD 진료를 받은 만 6∼18세 어린이와 청소년은 모두 4만4천741명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3만6천469명, 여자가 8천272명이다.
이에 비해 2022년 6∼18세 ADHD 진료인원은 8만1천512명으로 2018년과 비교해 82.19%(3만6천771명) 급증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 6만3천182명, 여자 1만8천330명이다.
교육당국에 등록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올해 4월 기준 10만9천700명가량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큰 규모다.
특히 학부모가 단순히 '주의가 산만하다'고 판단해 병원 치료나 상담을 받지 않는 경우도 많다는 일선 교사들의 지적을 고려하면 실제 ADHD 아동·청소년 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에서는 이처럼 ADHD 진료인원이 증가한 배경으로 유병률 자체가 늘었다기 보다는 질환에 대한 인식이 강화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다만, 교육당국이 ADHD 문제행동 대응 매뉴얼이나 지원대책 등을 갖고 있지 않은 데다 교사가 학부모에게 상담·치료를 요구하기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늘어나는 ADHD 학생을 지도하는 일이 교사 개인의 책임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기학생 지원기관인 위(Wee)센터 등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지만, 이 역시 학부모가 자녀의 문제 행동을 인식하고 상담·치료에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에 가능하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에서는 ADHD뿐 아니라 돌봄이 필요한 학생을 파악하고 있지만 교육부가 (통계를) 갖고 있지는 않다"며 "정서·행동 검사를 시행해서 전문가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병·의원 연계 지원을 해주는데 어쨌거나 병원에 가는 것은 학부모 동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동석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권본부장은 "대부분의 교사가 학부모에게 힘들게 에둘러서 (아이의 문제를) 말하면, 돌아오는 것은 '집에서는 멀쩡한데 왜 이상한 애로 만드냐?'는 반응이다"라며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고 (학교와 가정이) 협력하려면 국가가 ADHD와 경계성 장애에 대해 통계관리부터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