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원·달러 환율은 이번주 발표될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3월 개인소비지출(PCE) 지표 공개를 앞두고 1,370원대 후반을 지켰습니다.
이란과 이스라엘 간 충돌이 소강상태로 진입하면서 고비는 넘겼지만,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고 중동지역 정세 불안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언제라도 다시 환율이 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
급격한 환율 변동성에 대한 당국은 어떠한 대응 카드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경제부 전민정 기자 나왔습니다. 전 기자, 일단 지난 주 1400원을 넘었던 원달러 환율은, 이례적으로 한일 양국이 나선 구두개입이 효과를 본 것 같습니다.
<기자>
네 그렇습니다. 지난 16일, 원달러 환율이 역대 네번째로 장중 1,400원을 돌파하자 연이틀 우리 외환 당국과 한일 재무장관까지 공동 구두개입에 나서면서 달러 강세는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외환시장은 인식 자체가 중요하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던지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었던거죠.
하지만 이 구두개입은 임시적인 조치일 뿐입니다.
최근 일본 외환당국도 엔화가 추락할 때마다 강력한 구두개입에 나서고 있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앵커>
구두개입과 동시에 외환당국이 일정 부분 개입에 나선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서 환율 변동성이 더 커질 경우, 내놓을 수 있는 다음 조치는 무엇입니까?
<기자>
구두개입은 간접개입으로 분류되는데요. 그 다음 수순은 '직접 개입'입니다.
외환 당국은 환율 안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두개입과 함께 소량의 달러 매도 방식의 '미세조정'에 나서기도 하는데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대량의 달러 매도를 통해 좀 더 과감하게 시장에 개입하는 것이 직접 개입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여기엔 신중한 입장입니다.
인위적인 시장 개입으로 자칫 미국이 우리나라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다면 무역 제재 리스크를 떠안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앵커>
그렇다면'구두 개입'보다는 더 효과가 크고, 안전한 '간접 개입'이 필요해 보이는데, 당국이 쓸 수 있는 카드가 뭐가 있나요?
<기자>
외환당국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니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가 가장 유력한 카드로 꼽혔습니다.
국민연금이 해외주식을 살 때 외환당국으로부터 달러를 매입해 대금을 치르도록 하는 건데요. 이 방식은 시장에서의 달러 수요를 줄여 환율 상승을 막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수출입은행이나 정부가 조선사들이 환율 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해 매도하는 선물환을 직접 매입한다거나 국내 기업의 해외 자회사 배당금을 활성화함으로써 달러 공급을 늘려 환율을 떨어뜨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환율방어 수단들은 지난 2022년 미국의 고강도 긴축으로 환율이 급등했던 당시 이뤄졌던 추가적인 제도개선 조치이기도 합니다.
<앵커>
현재 외환보유고는 얼마나 됩니까? 강달러에 맞서 외환보유고를 쓰는 방식의 환율 방어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실제 환율 대응에 외환보유액은 2021년말 4,631억달러에서 지난달 말 4,192억달러로 400달러 이상 줄어든 상황이고요.
지난해 세수 펑크로 환율 방어를 위해 쌓아둔 외국환평형기금에서 20조원을 끌어쓰다 보니 외환시장 대응력이 약화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사실입니다.
결국, 경상수지 방어를 위한 수출 총력전을 펼쳐 외환보유고를 지키는 일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단 지적입니다.
경제계 원로들도 우리 경제의 전반적인 펀더멘탈, 기초체력을 더 키워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는데요. 직접 들어보시죠.
[유일호 /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외환시장 직접 개입은 안되니깐 시간이 걸리더라도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겠죠. 수출도 잘돼야 합니다. 지금 잘 되는 방산 수출도 더 해야 하고….]
또 궁극적으로는 외환시장 개방, 주주환원 확대 등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국내 자본의 해외 이탈을 막고, 세계채권지수(WGBI) 편입을 통해 달러 유입 통로를 확대하는 것도 외환시장 안정에 필요한 조치가 아닐까 싶습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경제부 전민정 기자였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