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풀린 돈이 10개월 연속 증가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하면서 대규모 투자대기자금이 유입된 영향이다. 증가폭도 1.6%로 전월(0.1%)보다 크게 증가했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3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 3월 광의통화(M2·계절조정·평균잔액 기준)는 3,994조원으로 전월보다 64조 2천억원 증가했다.
M2는 작년 5월까지 3개월 연속 하락하다가 6월(0.3%)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 3월까지 10개월 연속 증가세다. 증가 폭도 2월 0.1%에서 3월 1.6%로 크게 확대됐다.
M2는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지표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포함하는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의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18조 6천억원 늘면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정기 예·적금(12조 9천억원), MMF(10조 7천억원), 수익증권(9조 2천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행은 “청년희망적금 등 만기가 도래한 자금이 투자처를 찾는 과정에서 대기성 자금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시장형상품(-4조 9천억원) 등은 감소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35조 6천억원)와 기타부문(9조 8천억원)은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기업(7조 5천억원)은 수익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기타금융기관(-6천억원)은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단기자금 지표인 M1(계절조정·평균잔액 기준)은 1,244조 8천억원으로 전월보다 27조 2천억원 늘었다.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모두 늘면서 증가율도 전월 -0.3%에서 2.2%로 상승 전환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