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려달라!!" vs. "뭔 소리냐?"…결국 터졌다. 韓 금융사, 뉴욕 부동산 투자 ‘대형 손실’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입력 2024-05-21 08:04   수정 2024-05-21 08:04

    “조금만 참고 기다려 달라”고 권유를 받았던 해외부동산 투자가 잇달아 대형 손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해외부동산 투자 상징이기도 하죠. 뉴욕 맨해튼에 마지막 남았던 JP모간 지점을 철수하면서 미 상업용 부동산 가격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미 국내 증권사와 고객 간의 민원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데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긴급으로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일단 뉴욕 금융시장의 특이사항부터 짚어보면 좋겠는데요. 역시 엔비디아 실적을 기다리는 장세이지 않습니까?

    - 美 증시, 22일 엔비디아 실적을 기다리는 장세

    - 다우, 4만선 돌파 따른 ‘기술적 조정’으로 하락

    - 나스닥, 엔비디아 실적 기대로 상승 지속

    - AI와 반도체 종목 상승…테슬라, M7에서 공식 제외

    - 이란 헬기 추락 사태…라이시 대통령 사망 확인

    - ‘시아파 맹주’ 이란 정국 혼란, 중동 정세 불안?

    - 하지만 국제유가는 안정…대외관계 변화 없을 듯

    - 비트코인, 4월 11일 이후 40일 만에 7만선 돌파

    Q. 오늘의 가장 큰 뉴스는 국제금융의 메카라 하는 뉴욕 맨해튼 월스트리트에 정작 금융사가 없다는 소식인데요. 사실입니까?

    - 뉴욕 맨해튼 월스트리트, 국제금융 제1메카

    - 1890년대부터 금융사 본사 ‘집중 유입’

    - 제1 경제대국인 美 뒷받침한 가장 큰 원동력

    - 월가의 시련, 9.11 테러 사태를 계기로 ‘흔들’

    - 2009년 리먼 사태와 2020년 코로나 사태 가세

    - 월가 최장기 집권자이자 상징인 JP모간도 철수

    - 英 런던도 브렉시트 이후 금융사 실종

    - 맨해튼 23번지 월스트리트 공실률 25 육박

    - 실리콘밸리 등 다른 주요 도시 공실률 더 높아

    Q. 월스트리트의 공실률이 25에 근접한다는 것은 충격적인데요. 전체적으로 미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 상황이 어떤지 정리해 주시지요.

    - 뱅코프, 키코프, 코메리카 순으로 실적 발표

    - 연준, 3월 13일 은행 긴급지원 프로그램 종료

    - 마이클 바 등 연준 인사 발언…금리 인하 불투명

    - 부동산 분절화, 상업용 부동산 ‘종말론’ 거론

    - 빅테크 기업, 구조조정 차원에서 사무실 이전

    - PF 금융사, 대손충당 보유 부동산 헐값 매각

    - 상업용 부동산 소유자, 최후 자구책으로 매각

    Q. 부동산 시장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마지막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사람들이 상업용 부동산 소유자인데요. 이들도 속속 손을 들고 있지 않습니까?

    - 상업용 부동산 소유자, 삼중고로 임계상황

    - ‘monthly cost-benefit vicious cycle’ 진입

    - 신그레샴의 법칙…"홈리스가 임차인 몰아낸다"

    - 시카고 공포도 확산…상업용 부동산 ‘범죄의 온상’

    - 상업용 부동산 종말론 감안, 3가지로 변신

    - 무늬만 상업용 부동산, 임대료 세일로 자구책

    - 상업용 부동산 허물고 사회공공시설로 용도 변경

    - 상업용 부동산 개조해 주거용 부동산으로 변신

    Q. 상업용 부동산 소유자가 본격적으로 최후 자구책을 강구함에 따라 이들에게 대출했던 은행들의 사정도 어렵기는 마찬가지겠죠?

    - FT “美 6대 대형은행 연체금, 대손충당금 상회”

    - 6대 은행 연체금 93억 달러, 1년 전 대비 3배 급증

    - 은행권 전체로는 243억 달러, 1년 전 대비 2배 상승

    - 美 6대 은행, 해외 상업용 부동산 우선적 매각 대응

    - 최대 피해 대상, 韓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

    - CRE 관련 금융상품 수익률, 좀처럼 회복하지 못해

    - 韓 증권사 등급 ‘하향’…리스케줄링보다 조기 매각

    Q. 더 우려되는 것은 해외부동산 투자 손실이 지금부터 시작이라고 하는데요. 왜 이런 시각이 대두되는지 말씀해 주시지요.

    - 세계 상업용 부동산 투자, 韓 금융사가 불 붙여

    - 2018년 전후, 韓 금융사 해외부동산 투자 열 올려

    - 韓 금융사 간 경쟁, 상업용 부동산 가격 끌어올려

    - 상업용 부동산에서 손쉬운 오피스텔에 집중 투자

    - 美 상업용 부동산 투자 만기, 올해부터 집중 상환

    - 2026년까지 2조 달러…올해만 9290억 달러 만기

    - loss cut 시장 경쟁, 상업 부동산 가격 간 악순환

    - 오피스텔에 많이 투자한 증권사, 집중 타격 예상

    Q. 한국 금융사의 해외부동산 투자 손실은 2년 전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서부터 발생하기 시작했는데요. 국내 금융사가 대응하는 방식도 문제이지 않았습니까?

    - 韓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이미 2년 전부터 손실

    - 브라질, 홍콩, 프랑스, 미국 투자분 손실 발생

    - 중후순위로 투자 원금 손실↑…평균 50 넘어

    - 대손충당 적립으로 주가 하락, 주식투자자에 전가

    - 올해부터 만기 집중 앞두고 "조금만 기다려달라"

    - 해외 부동산 투자자들 "뭔 소리요?"…민원 발생 급증

    - 안이한 대응, 만기가 집중되면서 손실 범위 확대

    - 정책당국도 문제, 야당이 직접 나서서 이 문제 처리

    Q.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닌데요. 갈수록 부동산 PF 문제가 개선되기보다는 더 악화됨에 따라 4월 위기설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지 않습니까?

    - 레고랜드 사태 계기…부동산 PF 위기, 2년 전 다가와

    - 부도 도미노, 중견건설사 법정관리 신청 봇물

    - 대형 건설사도 어렵게 마련한 택지 등을 처분

    - PF 위기설, 좀처럼 해소도 개선도 되지 않아

    - 4월부터 부동산 대출 만기 집중 도래

    - 3∼4번 만기 연장, 디레버리지 불가피한 상황

    - 공적자금 투입, 실효성과 도덕적 해이 논란

    - 한은 총재와 금통위, 물가만 생각하는 것 ‘금물’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