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 우리 시장을 짓눌렀던 이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포문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에는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라는 새로운 무기를 꺼내들었습니다.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매긴 만큼 미국도 똑같이 관세를 매기겠다는 것입니다. 상대국은 어디인지, 어떤 품목인지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도 예고했습니다.
관세 리스크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10일 마켓인사이트에서는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 부장과 투자전략 세워봤습니다.

<한국경제TV 마켓인사이트>는 증시가 열리는 매일 오전 11시 생방송으로 진행됩니다. 투자에 대한 조언일 뿐 판단은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전체 방송 내용은 마켓인사이트 홈페이지 또는 유튜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증시 흔드는 '관세'
관세 리스크는 지난주부터 증시에도 본격적으로 녹아들었습니다.
지난주 우리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 예고에 월요일부터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후 멕시코와 캐나다의 관세 부과 유예 소식이 전해지며 반등을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중국이 예고 없이 보복 관세와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하자 반등의 힘은 주 후반으로 갈수록 약해졌습니다.
*한국증시 흐름
----------코스피 코스닥
3일(월) -2.52% -3.36%
4일(화) +1.13% +2.29%
5일(수) +1.11% +1.54%
6일(목) +1.10% +1.28%
7일(금) -0.58% +0.35%
10일(월) -0.03% +0.91%
우리시간 금요일 밤에 있었던 미국의 1월 고용보고서에 대한 경계감도 있었습니다. 미국 1월 고용보고서는 여전히 강한 미국의 고용을 보여줬습니다.
*美 1월 고용보고서
-비농업고용 14만3천명↑ / 시장 예상 16만9천명↑
-실업률 12월 4.1% → 1월 4.0%
-임금상승률 0.5% / 시장 예상 0.3%
일자리 증가폭은 예상치에 못 미쳤지만 앞선 두 달 수치가 10만명 가량 상향 수정됐고, 실업률도 4.0%로 낮아지면서 견조한 고용시장 여건을 재확인했습니다.
이에 따라 지금 증시가 바라고 있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은 다시 안갯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시카고 상품거래소 페드워치에 나타난 연준의 다음 금리 인하 시점은 7월로 예상되는데, 이마저도 팽팽합니다.
이경민 부장은 "2월까지 미국 물가 둔화세가 이어지고 최근 실업수당 청구 건수나 이런 것들을 봤을 때 고용이 더 둔화세를 보여주게 된다면 3월에는 연준이 비둘기파적인 스탠스를 보여주지 않을까하는 예상을 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 트럼프의 새 무기 '상호관세'
트럼프 대통령은 상대국이 매기고 있는 만큼 관세를 똑같이 매기겠다는 ‘상호관세’라는 무기를 새롭게 꺼내들었습니다.
발표 시점은 미국시간으로 10일 또는 11일, 어떤 품목이 될지 세부 내용은 아직 공개 전이지만 트럼프는 “모든 국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보편관세’를 꺼내기도 전에 ‘상호관세’를 들고 나오면서 트럼프 2기 관세 전쟁이 예상보다 복잡해질 수도 있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예고대로 10일부터 미국산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작하며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도 시작됐습니다.

트럼프 1기를 돌아볼 때 결국 합의에 이를 것이라는 기대는 있지만, 합의까지 얼마나 걸릴지가 관건입니다. 협상은 아직 시작되지도 않았습니다.
다만 이경민 부장은 "관세 정책은 미국이 최대한 이익을 얻기 위한 협상수단"이라며 "시장이 흔들리는 것보다 매크로 흐름들 그리고 향후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는 변화들에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 이번주 주요 이슈들
이번 주에는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의 상원 발언도 예정돼 있고, 미국의 소비자·생산자물가지수도 연달아 나옵니다.
국내 상장사들의 실적 발표도 이어집니다. 방산 기업들과 게임사들, 통신사들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고 SOOP, 카카오, 두산로보틱스 등 최근 시장 관심을 받고 있는 기업들 실적도 챙겨보셔야겠습니다.
*주요 이벤트 (한국시간)
-한화에어로스페이스·크래프톤·에코프로 실적 (11일)
-美 파월 의장 상원 반기 통화정책 보고 (12일)
-SKT·SOOP 실적 (12일)
-美 1월 소비자물가지수 (12일 밤)
-MSCI 한국지수 리밸런싱 (12일 밤)
-美 10년 만기 국채 입찰 (13일 새벽)
-KT·카카오·두산로보틱스 실적 (13일)
-美 1월 생산자물가지수 (13일 밤)
-삼성증권·LIG넥스원 실적 (14일)
-美 1월 소매판매·산업생산 (14일 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