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취소 및 석방에 대해 9일 여권의 차기 대권 주자들은 환영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조기 대선을 생각하며 대권 행보를 가속화하던 시점에 뜻밖의 변수가 등장해 이들의 속내가 다소 복잡해진 것으로 보인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윤 대통령의 구속취소와 석방을 계기로 이제 대한민국의 사법절차 전체가 정상으로 복귀하도록 해야 한다"며 "그간 대통령에 대한 수사, 체포, 구속, 재판 과정에 많은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해 왔지만, 편파적이고 불공정한 법 집행이 계속됐다"고 썼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8일 "윤 대통령 석방 결정을 환영한다"며 "법원의 적법한 판단이 존중받아야 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이라고 밝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줄기차게 윤 대통령 구속은 불법 구속이니 구속취소하라는 내 주장을 받아준 법원의 결정에 대해 격하게 감사드린다"며 "탄핵도 당연히 기각돼야 한다"고 썼다.
한동훈 전 대표는 "법원이 절차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면 구속취소는 당연하다고 생각한다"고 썼다.
그러나 표면적으로 환영의 뜻을 일제히 밝힌 것과 달리 복잡한 심경도 엿보인다.
윤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변론이 지난 25일 종결되고 3월 중순 결론이 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옴에 따라 사실상 조기 대선 전초전이 개막한 분위기가 형성되며 여권 잠룡들의 행보도 바빠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윤 대통령의 석방에 헌재 선고 시점도 연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자 대권 행보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보수권에서 헌재를 향해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의 각하 또는 기각을 압박하는 강경론이 힘을 얻기 시작한 터라 탄핵 인용을 전제로 한 대선 행보를 지속하면 보수 지지층의 반발을 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한 전 대표 등 윤 대통령 탄핵소추에 찬성한 주자 측은 더 신중을 기할 것으로 보인다.
탄핵 찬성파인 여권 주자 측 한 관계자는 통화에서 "위축까지는 아니라도 신중하긴 해야 할 것 같다"라며 "일단 잡힌 일정은 소화하고 나머지는 추이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주자 측도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에 놀란 것은 사실"이라며 "당분간 헌재 결정에 대해 언급을 삼가면서 조심스러운 스탠스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