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이 기존 상징이었던 태극마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 로고를 도입한다. 1984년 이후 41년 만이다.
대한항공은 11일 서울 강서구 본사 격납고에서 '라이징 나이트' 행사를 열고 새 로고를 포함한 기업 이미지(CI)를 공개했다.
새 로고는 대한항공의 상징인 태극마크 심벌과 항공사명을 표기한 로고타입(KOREAN AIR)을 나란히 배치한 형태다.
심벌은 기존 태극마크의 형태를 유지하되 짙은 푸른 빛의 '대한항공 다크 블루' 단색을 적용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대한항공의 오랜 전통이었던 로고와 CI를 바꾸게 된 계기에 대해 "미니멀리즘과 현대화를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신규 CI 반영 일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조 회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기 250대 가량을 다 도색하려면 길게는 3~4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 때문에 CI를 미리 공개한 것"이라고 했다.
대한항공은 항공기 도장을 비롯해 기내 서비스 물품 등 신규 CI를 순차적으로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새 CI를 입힌 항공기 도장(리버리)도 함께 공개했다.
지난해 7월 도입한 보잉 787-10(HL8515) 신형기가 대한항공의 새 로고를 처음 새겼다.
새로운 도장 측면 앞부분에는 'KOREAN AIR'에서 'AIR'(항공)를 뺀 'KOREAN'이 새겨졌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항공사명에서 'AIR' 혹은 'AIRLINE' 없이 국적만을 명기한 방식은 주요 글로벌 항공사에서 사용하고 있다.
브랜드 이미지를 통일하기 위해 대한항공 전용 서체와 아이콘도 개발했다.
새 로고를 적용한 항공기는 12일 오전 인천에서 일본 도쿄 나리타로 향하는 KE703편에 투입된다.

대한항공은 이날 오전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기내식 신메뉴와 업그레이드된 기내 서비스도 공개했다.
신규 CI 론칭을 계기로 보다 고급화한 기내 경험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다.
대한항공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의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세스타'의 오너 셰프인 김세경 셰프와 신규 기내식 메뉴를 개발했다.
김 셰프는 "계절별, 노선 별 메뉴가 총 350여 가지"라며 "기내식에 파인 다이닝 경험을 녹이고 다양성을 추구했다"고 설명했다.
기내 기물도 해외 유수 브랜드와 협업해 프리미엄 라인으로 리뉴얼하고, 최고급 기내식에 어울리는 식기를 엄선했다.

신규 기내식과 리뉴얼 된 기내 서비스는 12일 미국 뉴욕, 프랑스 파리, 영국 런던 등 장거리 주요 10개 노선에서 만나볼 수 있다.
대한항공은 올해 6월부터 장거리 전 노선, 올해 9월부터는 중·단거리 모든 노선에서 신규 서비스를 차례로 시행한다.
조 회장은 "통합 이후 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절대로 질이 떨어질 일은 없을 것으로 약속드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