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신규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 비중이 처음 60%를 돌파했다.
지방은 다세대·다가구 세입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월세 계약을 맺을 정도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다.
1∼2월 기준 이 비중은 2021년 41.7%에서 2022년 47.1%, 2023년 55.2%로 급격하게 늘었고 지난해 57.5%로 오르더니 올해 처음 60%를 넘어섰다. 4년만에 20% 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수도권보다 지방의 월세화가 더 심화됐다. 이 비중은 수도권이 60.2%로 1년 새 3.1%포인트 증가했고, 지방은 63.5%로 5.4%포인트 늘었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5.2%다.
아파트 월세 비중은 매년 조금씩 높아지고 있지만 '빌라' 등 비아파트 월세 비중은 큰 폭으로 증가 중이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2월 44.2%로 1년 새 2%포인트 늘었다. 서울이 43.8%, 지방은 45.4%다.
같은 기간 비파아트 월세 비중은 76.3%로 1년 전보다 5.6%포인트 늘었다.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로 가장 높고, 서울 76.1%, 수도권 73.2% 였다. 지방 빌라는 대부분이 월세 계약을 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 2년간 전세사기가 횡행하면서 빌라 전세 기피 현상에 지방 부동산 침체까지 더해져 월세화를 가속화 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임대인도 집값이 오르지 않자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월세로 전환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며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진 탓이다.
이 와중에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월세를 얼마 받을지 계산하는 비율인 전월세전환율이 높아지면서 세입자들의 월세 부담은 커지고 있다.
올해 1월 기준 수도권 전월세전환율을 5.9%, 지방은 6.9%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금리 인하 기조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일부 임대인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이 가능할 만큼 전가세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을 낮추고, 나머지는 월세로 전환하며 월세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경기 둔화로 금리가 낮아질수록 월세화 흐름은 강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