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사우디로부터 850조 원 규모의 투자 유치
- 양국, 투자와 수출 안보 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체결
- 일론 머스크, 사우디 정부로부터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의 항공 및 해양 사용 승인받아
- 트럼프 대통령,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 결정
- 사우디, 미국에 4년간 6천억 달러 투자 계획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로 1조 달러로 상향 조정
- 미 백악관, 이번 투자 협정에 약 1420억 달러 상당의 방위산업 계약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우디에 미국 12개 방산기업의 최첨단 무기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 예정이라 밝혀
- 구글, 오라클, 세일즈포스와 AMD, 우버 그리고 사우디의 데이터볼트가 미국과 사우디 양국에서 총 800억 달러 규모의 기술 투자 진행 계획 중이며, 특히 데이터볼트는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및 에너지 인프라에 200억 달러 투자 예정
● 미국, 사우디로부터 850조 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미국이 사우디로부터 우리 돈 85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양국은 투자와 수출 안보 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으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로부터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의 항공 그리고 해양 사용을 승인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에 대한 제재를 풀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 협정은 사우디가 미국에 4년간 6천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에서 시작되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로 1조 달러까지 투자 규모가 상향 조정되었다. 미 백악관은 이번 투자 협정에 약 1420억 달러 상당의 방위산업 계약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우디에 미국 12개 방산기업의 최첨단 무기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또, 구글과 오라클, 세일즈포스와 AMD, 우버 그리고 사우디의 데이터볼트가 미국과 사우디 양국에서 총 800억 달러 규모의 기술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 네이버클라우드, 팀벨 3사가 공동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해 생방송을 실시간으로 텍스트화 한 후 핵심만 간추려 작성됐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는 위 생방송 원문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디지털사업부 와우퀵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