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시장에서 인공지능(AI)용 고대역메모리(HBM)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 중임.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GDDR 제품의 수요 증가로 인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나, GDDR은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제품이 아니므로 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함.
- 반면, HBM을 납품하는 두산, 이수페타시스, ISC와 같은 기업들이 핵심이며, 특히 SK하이닉스가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중국 정부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반덤핑 조사를 실시한다는 소식에 따라, 중국 팹리스 업체들의 주문을 받을 수 있는 DB하이텍이 반사 이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됨.
- DB하이텍은 8인치 파운드리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단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 주가가 긍정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됨.
- 단기적으로는 DB하이텍과 같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유망할 것으로 판단됨.
● 반도체 시장, AI용 고대역 메모리(HBM)에 주목...관련주 강세
최근 반도체 시장에서는 인공지능(AI)용 고대역 메모리(HBM)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HBM을 포함한 D램 전반적으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다.
먼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그래픽 D램인 GDDR 제품의 수요 증가로 인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GDDR은 반도체 산업에서 중요한 제품이 아니며, 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HBM을 납품하는 기업들이 반도체 산업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두산, 이수페타시스, ISC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SK하이닉스가 HBM 시장에서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중국 정부가 미국 반도체 기업인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반덤핑 조사를 실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반도체 기업인 DB하이텍이 반사 이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DB하이텍은 8인치 파운드리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단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 주가가 긍정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적으로는 DB하이텍과 같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유망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V, 네이버클라우드, 팀벨 3사가 공동 연구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해 생방송을 실시간으로 텍스트화 한 후 핵심만 간추려 작성됐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는 위 생방송 원문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디지털사업부 와우퀵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