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모두 1% 이상 강세로 마감했다.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오면서 경기침체 불안을 털어냈다.
여기에 설전을 주고받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갈등이 일단락되며 테슬라의 주가가 반등한 것도 투자심리를 개선시켰다.
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43.13포인트(1.05%) 오른 42,762.8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1.06포인트(1.03%) 상승한 6,000.36, 나스닥종합지수는 231.50포인트(1.20%) 뛴 19,529.95에 장을 마쳤다.
5월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대폭 웃돌며 매수 심리를 뒷받침했다. 이날 미국 노동부는 5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전월보다 13만9천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13만명을 상회하는 수치다.
앞서 이번 주 초 발표됐던 미국 제조업 및 서비스업 업황 지표와 민간 고용 지표 등은 예상치를 밑돌며 업황 악화를 가리킨 바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다툼이 진정 기미를 보인 점도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머스크는 트럼프가 정부 계약을 철회할 것이라고 협박하자 미항공우주국(NASA)이 사용하는 드레곤 우주선을 해체하겠다고 맞섰으나 이를 취소했다.
일각에서 둘이 오해를 해소하기 위한 통화가 곧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이는 불발됐다.
하지만 둘이 더 이상은 서로를 공격하지 않자 시장은 둘의 불화가 확대되지는 않을 것이란 기대로 랠리했다.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강세였다. 통신서비스와 금융, 에너지, 임의 소비재는 1% 이상 올랐다.
중국 정부가 미국 3대 자동차 제조업체 포드와 제너럴모터스, 스텔란티스에 희토류를 수출하도록 잠정 허가를 내줬다는 소식에 세 회사 모두 1% 안팎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미·중 무역협상이 속행되면서 거대 기술기업들도 강세를 이어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0.58%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알파벳은 최근 인공지능(AI) 기술력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며 3% 이상 올랐다. 테슬라도 3% 넘게 반등했다.
반면 브로드컴은 1분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잉여현금흐름(FCF)이 부진하게 나오면서 주가가 5% 떨어졌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