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약 일주일만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를 진행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대통령실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범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시진핑 대통령과 어떤 대화를 나눴나요?
<기자>
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오전 11시 30분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를 했습니다.
한중 정상 통화는 약 30분간 이뤄졌습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한중 양국이 호혜평등의 정신 하에 경제와 안보, 문화 등 다방면에서 협력을 추진해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시 주석은 이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며 한중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두 정상은 양중 국민의 삶에 실질적 기여할 수 있도록 한중 관계를 발전시키는 게 중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양국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상과를 만들기 위해 공동의 노력 기울이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또한 이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을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고,
시 주석은 이에 "한반도의 평화는 한중 양국의 공동 이익인 만큼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안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습니다.
<앵커>
순서상으로 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시바 일본 총리 이후 세번째네요
사실 과거 선례를 볼 때 신임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과 먼저 통화를 하고, 보수 정부에선 일본 중국, 진보 정부에선 중국 일본 순서로 하는 게 일종의 '공식' 아니었습니까?
이번엔 그 공식이 깨졌는데 거기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기자>
네 사실 공식적으로 대통령실이 정상간의 통화 순서에 어떤 의미를 부여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과거 대통령들의 정상 통화 순서를 보면 해석의 여지가 분명히 존재했던 것도 사실입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취임 첫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뒤 다음날 시진핑 주석, 이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반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미국을 시작으로 일본과 영국, 호주 정상과 순서대로 통화를 했고,시 주석과의 통화는 당선 보름째에나 이뤄졌습니다.
외교가에선 문 전 대통령은 전임 정부에서 악화된 대중관계를 개선하려 했고,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른바 '자유진영 혈맹외교'를 강조했던 기조가 통화순서에 반영됐다고 해석합니다.
그래서 이 대통령의 통화순서에 대해선 과거 발언에서 비롯된 '반일 대통령' 우려를 불식시키고, 한미일 안보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 아니냐는 설명입니다.
또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 모두 오는 15일부터 캐나다에서 열리는 G7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만큼, 정상회담을 조율하기 위한 목적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공약으로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던 상법 개정안의 이번주 내 처리가 무산됐다는 소식도 나왔습니다.
이건 어떻게 된 일인가요
<기자>
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오늘 "어젯밤 원내지도부 회의와 대통령실과의 조율, 각 상임위의 의견을 들은 결과, 12일 본회의를 열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초 민주당은 12일 본회의에서 대법관 증원법과 상법 개정안, 방송 3법 등을 처리하겠다고 예고한 상태였는데요.
하지만 대법관 증원법, 방송 3법에 대한 야당의 격렬한 반대가 펼쳐지자 '협치'를 강조해온 대통령실이 개입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오늘 오후엔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국회를 찾아 우원식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를 예방하는데요.
우 수석은 이 자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협치 메시지를 전달하며 쟁점 법안에 대한 협치의 필요성을 강조할 전망입니다.
이렇게 당정이 '일보 후퇴'를 선택하면서 상법 개정안은 오는 13일 선정되는 민주당 새 원내지도부의 과제가 됐습니다.
<앵커>
또 주목할 만한 소식이 있네요.
대통령실이 일주일 동안 국민들로부터 장차관을 비롯한 공직 후보자를 추천받기로 했습니다.
관련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른바 '진짜 일꾼프로젝트'인데요.
장관과 차관은 물론이고, 공공기관장 등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는 주요 공직에 대한 인사추천제를 실시하겠다는 겁니다.
대통령실 측 설명 직접 들어보시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진짜 일꾼 프로젝트는 국민주권정부의 국정철학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인사추천제도입니다. 이재명 정부는 투명하고 공정한 인사추천 시스템으로 국민을 섬기는 진짜 인재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국민주권정부의 문을 활짝 열겠습니다.
공개적으로 장관급 임명직을 추천받는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인수위 시절 이후 약 20년만입니다.
국민주권정부가 실용 정치를 표방하고 있는 만큼, 정파성이나 정치권과의 친분에 무관하게 실력을 갖춘 인사를 선발하겠다는 취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됩니다.
다만 일각에선 언론의 인사 검증을 통해 후보자의 흠결이 드러나도, 국민의 추천이 일종의 '면죄부'로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합니다.
대통령실이 헌법에 따른 총리의 국무위원 제청권을 존중하기 위해 장관 인선을 늦추고 있는 만큼, 국민추천제로 천거 후 장관 후보자로 채택된 인사들은 김 총리의 국회 인준 이후에나 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국경제TV 전범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