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미 경제 개선 진단 속 혼조…다우 0.11% 하락 마감

입력 2017-01-19 06:27  

뉴욕증시 미 경제 개선 진단 속 혼조…다우 0.11% 하락 마감

(뉴욕=연합뉴스) 신은실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미국 경제 개선 진단 속에 혼조세를 나타냈다.

18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05포인트(0.11%) 하락한 19,804.7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00포인트(0.18%) 높은 2,271.8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6.92포인트(0.31%) 오른 5,555.65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혼조세로 출발한 지수는 장중 좁은 폭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혼조적인 움직임을 이어갔다.

업종별로는 금융업종이 0.8%가량 오르며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고 통신은 0.8%가량 내렸다. 산업과 소재, 부동산, 기술 등이 상승했지만 에너지와 헬스케어, 유틸리티 등은 하락했다.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연설과 연준의 경기 평가보고서인 베이지북, 경제 지표 등을 주목했다.

옐런 의장은 이날 샌프란시스코 연설에서 미국 경제가 연준의 목표에 근접하고 있다며 금리 인상을 너무 오래 기다리는 것은 고물가와 불안정성이라는 기분 나쁜 놀라움을 겪을 위험을 만들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연준은 베이지북을 통해서도 미국의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경제 성장세도 지속했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베이지북에서 지난해 말 몇 주 동안 "물가 상승 압력이 다소 높아졌다"며 "대부분 지역은 경제가 완만하거나 보통의 속도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연준은 "대부분 지역 관계자들은 올해 고용시장이 지속해서 개선되고 임금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지난 12월 미국의 소비자물가도 휘발유 가격 상승과 소비 증가에 따라 2014년 중반 이후 처음으로 연간 상승률이 2%를 넘어섰다.

미 노동부는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3%(계절 조정치)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조사치는 0.3% 상승이었다. 1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로는 2.1% 상승했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12월 근원 소비자물가는 0.2% 올랐다. 애널리스트들은 0.2% 올랐을 것으로 예측했다.

12월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2% 높아졌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 4년 넘게 목표치는 2%를 밑돌고 있다.

전문가들은 12월 소비자물가의 상승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에 우호적인 여건을 조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12월 미국 산업생산도 제조업과 유틸리티 부문 활기로 2년여 만에 최대치로 올라섰다.

연준은 12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8%(계절 조정치)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4년 11월 이후 가장 큰 폭 증가다.

WSJ 조사치는 0.7% 상승이었다.

1월 미국 주택건축업체들의 신뢰도는 미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른 정책 기대가 다소 완화한 데 따라 하락했다.

미주택건설업협회(NAHB)/웰스파고에 따르면 1월 주택시장지수는 67로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69를 예상했다.

골드만삭스의 주가는 지난해 4분기 순익이 시장 예상을 상회했음에도 0.6% 내렸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4분기 23억5천만달러의 순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주당순이익(EPS)은 5.08달러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27달러 대비 높은 수준이며 톰슨 로이터가 조사한 애널리스트 전망치 4.82달러도 넘어선 수치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해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30%가량 상승했다.

할인유통점인 타깃의 주가는 연휴 판매 부진으로 지난해 4분기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해 5.7% 하락했다.

타깃은 지난해 11월과 12월 연휴 기간 동일 점포 매출이 1.3% 하락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에 따라 지난해 4분기 동일점포 매출이 1.0~1.5%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타깃은 일반회계기준(GAAP) 4분기 EPS는 1.45~1.55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앞선 전망치인 1.55~1.75달러 대비 낮아진 수준이다.

씨티그룹은 지난해 4분기 EPS가 1.14달러, 매출이 170억1천2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EPS는 시장 예상을 웃돌았지만 매출은 전망치를 밑돌았다. 주가는 1.7% 내렸다.

톰슨로이터가 집계한 전문가들 예상치는 EPS 1.12달러, 매출 173억달러였다.

제약업체인 콜루시드(CoLucid Pharmaceuticals)의 주가는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인수한다는 소식에 32% 급등했다.

일라이 릴리는 콜루시드를 약 9억6천만달러에 인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라이 릴리의 주가는 0.9% 올랐다.

우라늄 채굴업체인 카메코(Cameco)의 주가는 감원과 실적 우려 등으로 18%가량 하락했다.

카메코는 직원의 10%를 줄일 예정이며 최근 업황 약화로 실적에 대한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물가 상승이 확인되고 경제 개선도 지속하고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취임을 앞두고 그의 정책 불확실성에 증시가 뚜렷한 방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4.80% 오른 12.44를 기록했다.

essh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