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민주화운동 대부' 이상철 목사 별세…향년 93세

입력 2017-02-01 15:22  

'북미 민주화운동 대부' 이상철 목사 별세…향년 93세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북미 민주화 운동의 대부', '캐나다 한인사회의 정신적 지주'로 불리는 이상철 목사가 지병으로 타계했다. 향년 93세.

이 목사는 설 명절인 지난달 28일 오후 온타리오주 토론토 인근 뉴마켓 자택에서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하느님 품으로 돌아갔다고 1일 현지 동포신문들이 전했다.

일제강점기인 1924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태어난 고인은 7살 때 부모를 따라 중국 룽징(龍井)에 있는 캐나다연합교회가 운영하는 은진중학을 다녔다.

문익환 목사의 부친 문재린 목사 교회의 교인으로 신앙을 접한 고인은 광복 이듬해인 1946년 한국에 들어왔다. 이듬해 조선신학교(현 한국신학대)에 입학해 1953년 안수를 받은 그는 1961년 밴쿠버 유니언 신학교에 유학을 가며 캐나다 땅을 밟았고 3년 뒤 귀국했다가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 리치먼드의 연합교회단이 초청하자 다시 돌아가 정착했다.

캐나다 정부가 1965년 가을부터 한인의 이민을 허용하자 유니언 신학교 강당을 빌려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예배를 드렸는데 이것이 밴쿠버 한인연합교회의 출발이었다. 1969년 7월 토론토 한인연합교회에 부임하면서 20년간 봉직한 뒤 1989년 9월 은퇴했다.

고인은 1960∼1980년 박정희, 전두환으로 이어지는 군사정권 시절 한국의 인권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기독교계 강원용, 함석헌, 문동환, 문익환 목사 등과 함께 싸웠다. 북미에서 독재정권의 실상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의 잔혹한 진압 상황 등을 해외언론과 한인사회에 알리고 항의시위 등을 주도했다.

평생을 인권과 민주화 운동에 바친 그는 밴쿠버 한인회 초대회장, 토론토한인인권옹호위원장을 지냈다. 아시아계 최초로 1988년부터 2년간 캐나다연합교회를 이끌었으며 1992년부터 8년 동안 빅토리아대 명예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인권·민주화 운동,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 캐나다 내 한인의 위상 제고 및 자긍심 고취 등의 활동으로 2007년 한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캐나다 원주민의 인권개선에 앞장선 공로로 원주민들로부터 명예 추장으로 추대되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신자 여사와 3녀가 있다. 김 여사는 한신대 설립자인 김재준 목사의 둘째 딸이다.

장례 예배는 1일 알파한인연합교회, 하관 예배는 2일 세미터리 앤 퓨너럴 센터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ghw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