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그가 사라졌다"…알파고, 1년전보다 육체·정신 '광속 성장'(종합)

입력 2017-05-23 18:01   수정 2017-05-23 19:44

"버그가 사라졌다"…알파고, 1년전보다 육체·정신 '광속 성장'(종합)

세계 최강 TPU2 장착한 듯…학습없이 실력 늘려 범용 AI 역량 입증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23일 바둑의 본고장 중국에서 세계 챔피언 커제 9단에 첫 압승을 거둔 구글의 인공지능(AI) 알파고는 작년 한국 대국 때보다 훨씬 강해진 것으로 평가된다.






AI의 육체와 정신 격인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가 모두 비약적 발전을 거듭한 것이다.

IT(정보기술) 업계에서는 작년 3월 서울 대국에서 이세돌 9단을 4대1로 이겼던 때와는 비교도 어려울 정도의 성장이 이뤄졌다는 관측이 대세다.

23일 더버지 등 외신에 따르면 알파고는 작년 대국 당시에도 구글이 고안한 AI용 칩인 TPU(텐서프로세서유닛) 기반의 서버를 써, 엔디비아 등 타사 칩을 쓰는 HW와 비교해 연산 속도가 몇십배 이상 빨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머신러닝(자율학습) 등 AI 고유 작업을 위해 치밀하게 칩을 최적화시킨 덕이다.

커제 "알파고, 충격적이었다" [https://youtu.be/ZJLWJDrliPI]

이번 달 개발자 회의에서 구글은 해당 AI용 칩의 개량판인 TPU 2세대를 전격 공개했다. 구글에 따르면 TPU 2세대는 현존하는 타사의 최정상 AI용 HW와도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연산 속도와 효율이 높아졌다.

TPU 2세대는 검색과 클라우드(전산설비 원격 대여 서비스) 등에 점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지만, 알파고는 구글의 간판 제품이란 위상을 볼 때 이미 TPU 2세대가 투입됐을 것이 관측이 많다. HW 면에서 이미 세계 최강자인 셈이다.

SW 차원에서도 '광속' 수준의 도약이 이뤄졌다. AI는 자율학습 능력이 있어 인간보다 훨씬 빨리 많이 공부해 특정 분야의 실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알파고는 이세돌 대국 전에는 인간 기사들이 뒀던 '기보'를 대거 학습해 역량을 키웠지만, 이번 경기를 대비해서는 아예 기보를 참고하지 않고 혼자 바둑을 두며 실력을 다지는 방식을 썼다.





예전 방식에 얽매이지 않는 '기발한 수'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둔 것이다. 바둑의 승패를 종종 뒤엎는 이런 예측불허의 판단은 알파고 이전에는 순전히 인간의 영역으로 치부됐다.

이런 알파고의 성장 성과는 이미 작년 12월∼올해 1월 일정 부분 드러났다. 알파고 업그레이드 버전이 사람인 척 익명의 ID를 써서 인터넷 바둑 사이트에 출전해 한국·중국·일본 정상의 프로기사들과 맞붙은 것이다. 결과는 60전 60승으로 커제 9단까지 누른 것으로 알려졌다.

빠르게 수를 판단해야 하는 인터넷 바둑과 상대적으로 시간이 넉넉한 실제 대국은 환경이 다르지만, 국제 바둑계에서는 이를 토대로 커제의 승률은 10% 미만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커제 9단도 이번 대국을 앞두고 최근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알파고가 쓰는 수는 신선의 수"라고 역부족을 인정한 상태다.

23일 첫 대국이 끝나자 국제 바둑계와 IT 업계에서는 알파고에 대한 찬사가 쏟아졌다. 작년 이세돌 전(戰)에는 일부 버그가 보였지만, 지금은 인간보다 더 완벽하고 아름다운 바둑을 둔다는 것이다.

바둑 국가대표 코치인 이영구 9단은 "처음 알파고를 봤을 때는 '저렇게 둬도 되나?'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저렇게 두는 거다'라는 느낌을 받는다. 알파고 등장 뒤 프로기사들도 고정관념을 버리고 자유로운 발상을 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유력 IT 전문지 와이어드는 "알파고가 기보 학습 대신 스스로 바둑을 둬 이렇게 승리를 거둔 사실은 구글 측 AI가 바둑을 포함한 어떤 일이든 혼자 익힐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호평했다.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 자회사인 '딥마인드'의 최종 목표인 범용 AI에 한 발짝 더 가깝게 다가섰다는 얘기다. 범용 AI란 사전 지식 없이 독학으로도 의료·과학 연구 등 고급 지적 행위를 두루 해내는 기계를 뜻한다.

구글도 이런 우위를 인식한 듯 올해 중국 대국 행사에서는 커제 9단과의 대국보다는 AI와 인간의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데 더 큰 중점을 뒀다.

이세돌 9단과 알파고와의 대국만 이뤄진 작년 서울 행사와 달리 이번에는 알파고와 현직 바둑 기사가 팀을 이뤄 다른 알파고와 인간 기사와 맞붙는 'AI·인간 복식'이 첫선을 보인다.

현직 바둑 기사 5명이 한 팀을 이뤄 알파고와 실력을 겨루는 경기도 마련됐다. 인간의 '집단 지성'이 AI와 만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지켜보자는 취지다.

t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