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세계한인학술대회' 개막…한민족공동체 발전방안 모색

입력 2017-06-27 15:58  

'2017 세계한인학술대회' 개막…한민족공동체 발전방안 모색

17개국 학자·활동가 150명, 동북아시대 동포 역할 논의 후 정책제안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재외동포재단(이사장 주철기)과 재외한인학회(회장 최영호)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17 세계한인학술대회'가 27일 서울 롯데호텔 크리스탈볼룸에서 개막했다.




재단 창립 20주년을 기념해 열린 이번 대회는 전 세계 17개국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재외동포 연구가와 NPO(비영리민간단체) 활동가 150여 명이 참가했다. 이들은 29일까지 글로벌 동포사회의 현황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토론을 진행한다.

주철기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한민족 네트워크는 대한민국의 큰 축복이며 국력의 외연으로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동북아시대 평화번영에 기여할 수 있다"며 "다양한 현황을 논의하고 정책 제언을 통해 동포사회 역량을 높이는 논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최영호 회장은 환영사에서 "과거와 달리 재외동포는 거주국 주류사회에서 인정받으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됐고 대한민국도 세계 10위 권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며 "서로 필요성을 느끼게 된 만큼 상생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개진이 전개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심재권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은 '새 정부의 재외동포 정책 및 지원방안' 주제의 기조강연을 통해 "남북 화해와 교류 협력을 통해 통일로 나아가는 데 재외동포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동북아시대 한국이 주역이 될 수 있도록 본국 국민과 재외동포가 힘을 합치는 방향으로 정부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다문화 공생사회에서 바람직한 동포 정책은 한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거주국의 언어와 문화도 품을 수 있도록 차세대를 육성하는 것"이라며 "동포사회 숙원인 재외동포센터 건립, 국내 체류자격 완화, 일본 국적 취득 동포와 국외 입양동포 포용 등에 대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정책 제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막식에 이어 '동북아시대 재외동포의 역할'을 주제로 한 기획세션Ⅰ에서 발제자로 나선 신기욱 미국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 소장은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국이 중시하는 나라에서 오피니언 리더로 활약하는 재외동포가 동북아 평화 정착에 공헌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 방안으로 "6자회담국 거주 동포 중 법조계, 정관계, 언론·학계 전문가를 중심으로 정기적 라운드테이블 진행하고 이 중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동포 전문가가 전략적 대화를 나눠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고 공감대를 형성해 거주국과 한국에 정책 제안을 할 수 있도록 자리를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재외동포는 한민족의 피를 나눈 사이지만 거주국 시민권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국적 여부를 무시하고 한국인으로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 단순히 동포 관리 차원에서 접근해서는 협력을 끌어낼 수 없다"고 조언했다.

김강일 중국 연변대 교수는 "동북아 지역의 공존 번영을 위한 핵심 과제는 북핵과 이를 둘러싼 한반도 문제의 해결"이라며 "정치적 갈등이 첨예할수록 경제적 협력을 확대하는 것이 문제를 빨리 푸는 지름길인데 그 역할의 적임자가 바로 조선족"이라고 강조했다.

김게르만 카자흐스탄국립대 교수는 "카자흐스탄을 비롯해 CIS와 러시아에서 엘리트로 활동하는 고려인은 남북문제에서 잠재적인 중재자 활동을 할 수 있다"며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동포사회의 변화와 차세대 코리안 커뮤니티'를 주제로 한 기획세션Ⅱ에는 민병갑 미국 퀸스칼리지 교수, 권오정 일본 류코쿠대 명예교수 등의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대회 이틀째인 28일 오전에는 '국내 거주 동포의 실태 및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재외동포의 외연 확장을 포함한 동포 정책 개선방안'에 대한 폭넓은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이어 오후부터는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CIS, 동남아·중남미, 유럽·오세아니아 등 6개 지역별 세션이 진행된다. 발제자 대부분이 현지 거주국에서 활동 중인 전문가들로 동포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한인사회의 모습을 소개하고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책에 대해 머리를 맞댄다.

대회 기간 논의된 내용은 29일 폐회식에 앞서 분과별 종합보고를 통해 공개된다.

wakar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