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전벽해 세종시] ①농촌서 첨단도시로…5년새 인구 2.6배↑

입력 2017-07-13 07:00   수정 2017-07-13 07:02

[상전벽해 세종시] ①농촌서 첨단도시로…5년새 인구 2.6배↑

수도권 반발·수정안 고비 넘고 '급성장'…행정기관 이주·건물 특화 착착

[※ 편집자 주 = 오는 20일은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착공 1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올해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5주년을 맞은 해이기도 합니다. 그동안 세종시는 '상전벽해'(桑田碧海) 그 자체였습니다. 드넓은 농경지와 구릉지에 정부청사가 들어섰고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세워졌습니다. 곳곳에 도로도 뚫렸습니다. 신행정수도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축소 건설되는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국토균형발전'의 상징도시로 발돋움했습니다. 새 정부 들어서는 '행정수도 완성'의 꿈을 다시 키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조성과정에서 부동산 투기 등 부작용도 적지 않았습니다. 그동안의 변화상, 부동산 투기 열풍과 대책, 미래상 등을 3꼭지로 나눠 송고합니다.]


(세종=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1978년이니까 벌써 40년이 다 돼 가네요. 주변에 논, 밭, 산, 강 말고는 아무것도 없었어요."

스물 세살에 충남 연기군 남면 부안 임씨 집안으로 시집온 이현숙(62)씨는 한적한 농가의 일상이 좋았다.

씨족 마을인 이곳에서 가족과 함께 농사하고 과수원을 일궜다. 흑염소도 여러 마리 길렀다.

손을 바쁘게 놀리며 만족감을 느끼던 그에게 예상치 못한 소식이 들려온 건 그로부터 26년이 지나서다.

2004년 8월 11일 연기군과 공주시 지역 일대가 신행정수도 입지로 최종 확정되면서다.

"농사밖에 모르던 내가 도시에서 앞으로 어떻게 사나 싶었어요. 걱정이 태산이었지요."

13일 이씨는 십여년 전 당시의 심정을 이렇게 회상했다.


장사(葬事) 대책도 문제였다.

조상을 모신 분묘를 옮기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한 주민이 적지 않았다고 이씨는 전했다.

그는 "절대 내 동네를 안 떠나겠다는 어르신들이 많았다"며 "모든 주민이 극렬하게 반대했다"고 덧붙였다.

정부 당국은 공감대를 끌어내고자 주민과 함께 서울·부산·경북 영천 등지의 장묘 시설을 여러 차례 견학했다.

차분히 시간을 들이며 장사시설에 대한 인식도 바꿔나간 당국은 수차례 협의를 통해 원주민과 원만히 합의하면서 엉킨 실타래를 풀어나갔다.


이씨도 이때부터 상황을 더 적극적으로 바라보기로 했다고 한다.

제2의 인생을 위해 공인중개사 공부를 한 그는 수 차례 낙방 끝에 시험에 합격했다.

"2007년 7월 착공한 행복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에 자리 잡으면서 이 게 정말 새로운 세상이라는 걸 느꼈어요. 원주민으로서 주인의식을 갖게 됐고 행복도 남달랐습니다"

공정한 부동산 매매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했다는 그는 현재 일을 접고 봉사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이씨는 "처음엔 좁은 땅덩어리에 수도를 두 개나 만드느냐는 걱정도 많았다"며 "지금 우리나라 현실과 세종시를 보면 다 쓸데없는 생각이었다는 걸 잘 알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옛 집터에서 세종시 첫 종합병원인 세종충남대병원 건립공사가 한창이라고 설명했다.

이씨 삶의 궤적을 송두리째 흔든 지난 10년에는 세종시 성장통이 그대로 담겨 있다.

한적한 농촌에서 첨단 기술과 자본이 집약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치환하는 그 모든 과정은 그야말로 극적이었다.



◇ 멀고 험했던 특별자치시의 길

신행정수도 위헌 결정으로 나온 행정중심복합도시 사업은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를 둔다.


12부 4처 2청 49개 행정기관을 이전하는 것을 골자로 한 법안은 2005년 3월 국회를 통과했다.

이 법을 토대로 정부는 2006년 1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을 출범시킨 데 이어 7월에는 '분산형·자연 친화·인간 중심 대중교통체계' 등을 골자로 하는 건설 기본 계획을, 11월에는 개발 계획을 잇달아 확정했다.

이어 2006년 12월에는 행정도시 명칭을 현재의 세종시로 결정했고, 2007년 7월 20일 대망의 첫 삽을 떴다.

10년의 시작이었다.

정부 주도로 중앙행정기관 이전을 추진하던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은 그러나 2010년 또 다른 암초를 만났다.

이명박 정부가 교육과학중심 기업도시로 도시 성격을 바꾸는 수정안을 발표하면서다.


성난 민심이 들불처럼 일어난 건 어찌 보면 당연했다.

삼보일배나 거리서명에 더해 삭발과 단식 투쟁도 예사였다.

조선평 전 연기군의회 의장은 "삭발을 하겠다는 사람이 너무 많아 지원자 중 추려야 할 상황이었다"는 후일담을 전했다.

충청 출신이라며 기대를 모았던 정운찬 총리에게 달걀을 던지기도 했다.

국회 심의 과정에서 팽팽한 대립을 거쳤던 이 수정안은 2010년 6월 29일 최종 부결되면서 원안대로 재추진됐다.


◇ 돌다리 하나씩 하나씩

수돗물 통수식, 첫 마을 아파트 주민 입주, 진입도로 개통, 대전 연결도로 확장 등 이후 일정은 순풍에 돛을 단 듯 진행됐다.

2012년 7월 1일에는 세종특별자치시가 정부 직할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했다.

광역과 기초를 포함한 단층제 광역자치단체라는 독특한 특성을 지녔다.

464.90㎢ 면적의 세종시는 연기군 전체와 공주시(장기면), 충북 청원군(부강면) 일부를 흡수했다.

이 중 행정중심복합도시는 도심 한복판에 녹지공간을 마련하고, 주거지 뒤쪽으로 자연이 둘러친 '이중환상형 구조'로 그려졌다.

순환교통망을 따라 중앙행정·문화와 국제교류·도시행정·대학과 연구시설·의료와 복지·첨단지식기반 등 6개 생활권으로 분산 배치했다.


중앙행정기관 이전도 계획에 맞춰 진행했다.

2012년 국무총리 비서실,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을 시작으로 세종청사 완공에 맞춰 2014년까지 36개 부처·기관이 차례로 이사했다.

2016년에는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도 옮겨와 총 40개 행정기관이 이전을 마쳤다.

지난해 말 기준 세종시 입주 공무원 수는 1만4천699명에 달한다.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국토연구원 등 1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3천545명 연구원도 세종시에 정착했다.


국립세종도서관, 대통령기록관, 세종컨벤션센터(SCC) 등도 차례로 자리했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시 출범 당시 10만여명이던 인구가 26만여명으로 증가하는 등 세종시는 대한민국 중심도시로 꾸준히 성장했다"며 "10년이란 세월은 짧은 시간일 수 있지만 그 속에는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시민의 바람과 국민의 염원이 서려 있다"고 설명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성과는 건물 특화다.

도시 내 64개 청사, 대통령기록관, 국립세종도서관, 교량 등 공공건축물은 뛰어난 미적 가치를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


안시권 행복청 차장은 "설계와 건축에도 첨단기술이 적용돼 마치 도시 전체가 하나의 건축물 박물관처럼 짜임새 있게 만들어졌다"며 "생활권별 특화도 추진하는 등 도시혁명의 첫 단추를 세종시가 끼웠다고 보면 된다"고 강조했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