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미 고용지표 부진 속 혼조…나스닥 사상 최고 마감

입력 2017-10-07 05:36   수정 2017-10-07 14:12

뉴욕증시 미 고용지표 부진 속 혼조…나스닥 사상 최고 마감

(뉴욕=연합뉴스) 신은실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고용지표 부진 속에 혼조세를 나타냈다.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6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2포인트(0.01%) 하락한 22,773.6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포인트(0.11%) 내린 2,549.3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82포인트(0.07%) 오른 6,590.18에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장중 6,590.18까지 올라 장중 최고치도 갈아치웠다.

이날 지수는 하락세로 출발해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고용지표 부진으로 사상 최고치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다.

시장은 미국 경제지표와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위원 연설 등을 주목했다.

지난 9월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은 허리케인 영향으로 예상 밖으로 감소했으나 실업률은 더 내리고, 시간당 임금 상승률이 큰 폭으로 올랐다.

미 노동부는 9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3만3천 명(계절 조정치)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감소한 것은 2010년 9월 이후 7년 만에 처음이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조사치 8만 명을 밑돈 것이다.

9월 고용은 부문별로 민간에서 4만 명이 감소하고, 정부에서 7천 명이 늘었다.

9월 실업률은 4.2%로 전월의 4.4%보다 내렸다. 이는 2001년 이후 최저치다. 애널리스트들은 4.4%를 예상했다.

9월 민간부문의 시간당 임금은 전월 대비 12센트(0.45%) 상승한 26.55달러를 기록했다. 월가 전망치는 0.3% 상승이었다.

임금은 1년 전보다는 2.9% 상승했다. 지난해 12월에도 연율 2.9%로 2009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을 기록했다.

8월 고용은 15만6천 명에서 16만9천 명으로, 7월 고용은 18만9천 명에서 13만8천 명으로 수정됐다. 8월 실업률은 4.4%에서 수정이 없었다.

지난 8월 미국 도매재고는 9개월래 가장 빠른 속도로 축적되는 모습을 보였다.

미 상무부는 8월 도매재고가 전달대비 0.9%(계절조정치)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6년 11월의 1.1% 증가 이후 가장 크다.

다만 WSJ 조사치는 1.0% 증가는 밑돌았다.

이날 연설에 나선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올해 금리 인상 전망을 재확인했다.

더들리 총재는 "경제는 2%를 살짝 넘는 성장 궤도를 유지하고 있고 계속되는 확장을 지지하는 기초체력도 호의적"이라고 말했다.

더들리 총재는 "비록 물가가 장기 목표를 밑돌고 있긴 하지만 점진적으로 통화 완화 정책을 없애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면서 "금리 인상 과정은 서서히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의 로버트 카플란 총재는 12월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서 지지할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카플란 총재는 미 경제방송 CNBC에 출연해, "12월에 대해서 마음을 열어두고 있지만,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카플란은 또 물가는 연준의 목표치인 2% 아래에 있다며 중앙은행은 경기부양 조치를 제거하는 데 인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투표권이 있다.

대형 할인업체인 코스트코의 주가는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웃돌았음에도 6%가량 하락했다.

JP모건은 코스트코가 회원 수 증가세와 아마존의 홀푸드 인수에 따른 경쟁 불확실성이 주가에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비디오 스트리밍 업체인 넷플릭스의 주가는 증권가 목표가 상향에 1.9% 상승했다.

웨드부시는 넷플릭스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82달러에서 88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다만, 투자의견은 '시장수익률 하회'로 유지했다.

소프트웨어 회사인 싱크로노스 테크놀로지(Synchronoss Technologies)의 주가는 인수·합병(M&A) 기대에 32% 급등했다.

싱크로노스는 최대주주인 시리스 캐피털 파트너스와 인수 협상을 다시 시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의약품과 생활용품 판매 체인인 월그린의 주가는 투자은행(IB)의 투자의견 하향에 5% 하락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월그린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가를 하향 조정했다.

뉴욕 애널리스트들은 이날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에 미치지 못하는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이는 허리케인에 따른 단기적인 영향으로 향후 다시 회복세를 보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12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1.7%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3.81% 내린 9.54를 기록했다.

essh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