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노(老老) 부양가구' 매년 증가…20만 가구 넘었다

입력 2017-10-27 10:39   수정 2017-10-27 15:26

'노노(老老) 부양가구' 매년 증가…20만 가구 넘었다

60~70대 자녀가 80세 이상 부모 공양 13만가구

김상훈 의원 "2010년보다 1.7배 늘어…맞춤형 지원정책 필요"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노인이 된 자녀가 노부모를 부양하는 이른바 '노노(老老) 부양가구'가 해마다 늘고 있다.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훈 의원(자유한국당)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노노부양가구는 2010년 12만1천767가구에서 2012년 13만5천214가구, 2014년 15만2천759가구, 2016년 17만9천893가구 등으로 해마다 늘었다.

올 9월 기준으로는 20만2천622가구에 달해 2010년보다 1.7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9월 현재 기준 노노부양가구를 유형별로 보면 60∼70대 자녀가 80세 이상 노부모를 모시는 경우(건강보험 피부양자나 세대원)가 12만8천411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이하 자녀가 60∼70대 부모와 80세 이상 조부모를 모시는 경우가 6만6천51가구였다.

또 60∼70대 노인 자녀가 80대 이상 노부모의 피부양자(세대원)로 등재된 사례도 8천160가구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4만8천831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 4만4천533가구, 부산 1만3천987가구, 경남 1만2천322가구, 경북 1만792가구 등의 순이었다.

세종(1천157가구), 제주(2천163가구), 울산(4천321가구) 등은 상대적으로 노노가구가 적었다.

김상훈 의원은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앞으로 노노가구는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이는데, 자신도 부양받아야 하는 노인에게 80세 부모 부양의 짐까지 지우는 것은 피해야 한다며 "정부는 이들이 이중 부양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노노가구 맞춤형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0년∼2017년 9월 현재 노노(老老)부양 가구 현황]

(단위:명)



┌────┬────┬───┬───┬───┬───┬───┬───┬───┐

││ 2010년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 │ │ │ │ │ │ 9월 │

├────┼────┼───┼───┼───┼───┼───┼───┼───┤

│ a│ 63,921 │66,087│72,681│78,880│87,841│97,740│110,35│128,41│

│││ │ │ │ │ │ 0 │ 1 │

├────┼────┼───┼───┼───┼───┼───┼───┼───┤

│ b│ 54,444 │55,940│58,577│58,781│59,954│62,050│62,674│66,051│

├────┼────┼───┼───┼───┼───┼───┼───┼───┤

│ c│ 3,402 │3,529 │3,956 │4,404 │4,964 │5,678 │6,869 │8,160 │

├────┼────┼───┼───┼───┼───┼───┼───┼───┤

│ 계 │121,767 │125,55│135,21│142,06│152,75│165,46│179,89│202,62│

│││ 6 │ 4 │ 5 │ 9 │ 8 │ 3 │ 2 │

└────┴────┴───┴───┴───┴───┴───┴───┴───┘

a : 60∼70대 자녀가 80세 이상의 노부모를 피부양자나 세대원으로 둔 가구

b : 50대 이하가 60∼70대의 부모와 80세 이상의 조부모를 피부양자나 세대원으로 둔 가구

c : 80세 이상이 60∼70대 자식을 건강보험 피부양자나 세대원으로 둔 가구

sh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