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 자취 감춘 금강 어름치…4년 공들인 복원사업 허사

입력 2017-11-30 08:02  

끝내 자취 감춘 금강 어름치…4년 공들인 복원사업 허사

방류지 모니터링 결과 어미 흔적이나 산란탑 발견 못 해

(옥천=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일대 금강에 서식하던 천연기념물 259호인 어름치 복원사업이 끝내 허사로 돌아갔다.


옥천군은 작년 12월부터 11개월 동안 전문기관에 의뢰해 이 지역 하천을 모니터링했지만, 어미 어름치의 흔적이나 산란탑 등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30일 밝혔다.

다만 옥천취수장 인근 수초 지대에서는 새끼 어름치 12마리가 발견됐다. 조사팀은 그러나 크기 등에 미뤄 이곳에 서식하는 개체가 아닌 지난 8월 방류한 새끼로 추정했다.

여울이 깨끗하고 모래·자갈 등이 풍부한 이 지역은 과거 어름치가 무리 지어 서식하던 곳이다. 그러나 골재 채취 등으로 하천 환경이 파괴되면서 1980년대 이후 자취를 감췄다.

문화재청은 사라진 금강 어름치를 되살리기 위해 2013년부터 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손잡고 복원사업을 벌여왔다. 올해까지 5년간 새끼 어름치 2만3천마리를 이 지역 하천에 풀었다.

이번 조사는 방류지를 중심으로 영동군 심천면∼옥천군 동이면에 이르는 10여㎞ 구간의 하천 6곳에서 이뤄졌다. 채집과 더불어 잠수부가 직접 물 속 환경을 살피는 수중관찰도 이뤄졌다.


조사팀은 용역 결과 보고를 통해 "방류지 주변의 하천 바닥이 평평해 어름치가 몸을 숨기기 힘들고, 포식성 어종인 쏘가리·꺽지와 외래어종이 배스가 발견되는 등 서식환경이 열악하다"고 평가했다.

강원이나 전북 무주 등 다른 지역 서식지에 비해 물속 COD(화학적 산소요구량)와 수온이 높은 점도 어름치 적응을 어렵게 만든 제약 요인으로 꼽았다.

옥천군은 이번 용역 결과를 토대로 다슬기 채취 등 서식지 교란행위를 줄이면서 포식성 어류 퇴치사업을 벌이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냉수성 어종인 어름치가 잘 적응하도록 방류지를 상류의 취수장 주변으로 옮기는 방안 등도 고심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이번 조사가 일부 지역에서만 이뤄져 복원사업의 성패를 확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실패 가능성이 커 보인다"며 "문화재청과 추후 대책 등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잉엇과에 속하는 토종어류 어름치는 돌무더기로 산란탑을 만들어 알과 새끼를 보호하는 습성이 있다. 몸길이 20∼30㎝ 정도로 아가미부터 꼬리까지 검은 점선 7∼8개가 있는 게 특징이다. 국내에는 한강과 임진강 상류 등에서 일부 서식이 확인된다.

이 지역 금강은 한반도에서 이 물고기가 살 수 있는 남방한계선으로 여겨진다.

bgi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