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린·쿠슈너, 영국·말레이·우루과이에도 로비"

입력 2017-12-02 16:13  

"플린·쿠슈너, 영국·말레이·우루과이에도 로비"

로이터 통신, 익명의 복수 외교관 인용해 의혹 제기

(서울=연합뉴스) 민영규 기자 = 마이클 플린 전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지난해 12월 대선 직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제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 고문의 지시를 받아 러시아와 접촉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플린과 쿠슈너가 영국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로비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1799년 제정된 미국 로건법은 민간인이 외교 사안에 개입하는 것을 금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월 취임했기 때문에 플린과 쿠슈너는 당시 민간인 신분이었다.

로이터 통신은 1일(현지시간) 익명을 전제로 한 복수의 외교관을 인용해 지난해 12월 팔레스타인 자치령인 서안 지역에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 중단을 촉구하는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막기 위해 플린과 쿠슈너가 러시아에만 로비한 것은 아니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플린은 유엔 주재 말레이시아, 우루과이 대사에게도 전화했다.

그러나 람란 빈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대사는 전화를 받지 않았다.




플린이 우루과이 대사에게 건 전화는 결의안 표결 몇 분 전 대사 직무대행이 된 루이스 베르무데스 부대사에게 전달됐다.

쿠슈너는 워싱턴에서 킴 대럭 주미 영국 대사를 만났다.

이스라엘 고위 관리도 "이스라엘 관료들이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를 설득하는 데 실패한 뒤 트럼프 대통령 인수위원회의 고위급 인사들과 접촉해 도움을 요청했다"고 털어놨다고 로이터는 밝혔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도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해 12월 22일(현지시간)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유엔 결의안 문제를 논의했고, 같은 날 이집트는 유엔 안보리 표결안을 철회했다고 보도해 트럼프 대통령도 로건법을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의 로비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 중단촉구 결의안은 지난해 12월 23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에서 채택됐다.

youngky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