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연 정규직 가이드라인, 연말까지 확정한다

입력 2017-12-06 15:26   수정 2017-12-06 15:36

출연연 정규직 가이드라인, 연말까지 확정한다
<YNAPHOTO path='C0A8CA3C0000015D5E8835AC00019EAE_P2.jpeg' id='PCM20170720001819044' title='정규직 (PG)' caption='[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
과기정통부, 25개 출연연 정규직전환심의위 구성 완료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과기정통부 산하 정부출연연구소(이하 출연연)들이 정규직전환심의위원회 구성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정규직 전환 심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상시·지속 업무 수행 비정규직' 직원 선별 작업과 정규직 전환계획 마련이 기관별로 진행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하 25개 출연연이 기관별로 정규직전환심의위원회 구성을 마쳤다고 6일 밝혔다.
위원 절반 이상이 기관 외부인으로 구성된 정규직전환심의위는 기관별로 정규직 전환 업무 선정 기준과 인력 전환 방식을 심의하는 기구다. 경쟁채용 방식으로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경우 현직자의 의견을 듣는 절차도 심의위가 담당한다.
기관별 정규직전환심의위 심의를 거친 정규직 전환계획이 마련되면, 각 기관은 과기정통부와 협의해 계획이 가이드라인에 맞게 수립됐는지 확인한 후 이를 확정한다. 계획 확정 시한은 올해 연말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사실상 정규직 전환 절차에서 가장 객관성 있는 기구로서 전환기준 설정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정규직전환심의위원회'의 구성이 기관별로 완료돼 정규직 전환 절차가 속도감 있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정규직 전환 과정에 내부갈등이 없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기관과 이해관계자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7월 20일 기준으로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에 근무하는 인력 중 34.6%인 6천484명이 비정규직 직원이며, 이 중 기간제 근로자가 3천737명, 파견·용역직 근로자가 2천747명이다. 다만 이들 모두가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자 수는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올해 10월 과기정통부가 마련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앞으로 2년 이상, 연중 9개월 이상 일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시·지속 업무 수행 비정규직' 근무자와 연구 안전 관련 업무 종사자나 폭발물·유해 물질 처리 등 위험성이 있는 업무를 맡은 비정규직 근무자는 최소한의 평가 절차를 거쳐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또 '경쟁채용 방식'으로 정규직 전환이 이뤄지는 경우는 출연연과 근무자가 각각 이에 대한 사유와 의견을 출연연별로 설치된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에 제출해 심의를 받아야 한다.
기간제 근로자의 경우 내년 3월까지 정규직 전환이 완료되며, 파견·용역직의 경우 내년 이후 민간업체의 계약 기간 종료 시점에 맞춰 전환된다.
solatid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