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 시인의 타오르는 창작열…217편 연작시집 '어느 날'

입력 2018-01-18 15:38   수정 2018-01-18 15:53

고은 시인의 타오르는 창작열…217편 연작시집 '어느 날'
3개월 사이 써낸 짧은 시들…역사와 사회, 인생 통찰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현실/가상현실/그리하여/증강현실//1백 20년 이내로 슬픔이 사라진다//다시 태어난 나/무엇으로 살거나/물로 살거나/불로 살거나" ('어느 날 1')
올해 만 85세를 맞은 고은 시인의 창작열은 이전보다 더 타오르는 듯하다. '어느 날'이라는 제목으로 1번부터 217번까지 번호를 붙인 시들을 묶어 새 시집 '어느 날'(발견)을 냈다.
시 전문지 '발견'의 청탁을 받고 쓴 '어느 날' 연작 87편을 겨울호에 발표한 뒤 이 시들을 책으로 묶는다는 얘기를 듣고 추가로 더 써 3개월 사이에 217편의 시를 뚝딱 써냈다고 한다. 애초 '발견' 측은 10편 정도의 시를 청탁했으나, 시인의 창작열은 이를 훨씬 뛰어넘어 한 권의 두꺼운 시집을 내놓은 것이다.
이번 시집의 시들은 모두 짧다. 제목처럼 어느 날 시인의 머릿속에 문득 떠오른 생각들을 불교의 선(禪)문답처럼 한두 마디씩 풀어놓은 듯하다.
시인은 이런 짧은 시를 쓰게 된 배경을 서문에서 이렇게 밝힌다. "1960년대부터 단시를 쓰는 버릇이 가라앉았다 떠올랐다 하며 여기에 이른다. 저 중앙아시아 알타이 고원이나 거기서 더 서쪽인 스카타, 이들에게 지향 없이 이어지는 구비서사의 긴 음영(吟詠)은 어느덧 해 뜨는 한반도의 나머지까지 그 핏줄이 이어진다. 그래서 나의 유서 깊은 서사본능은 몇 개의 장편 시편들 낳고 또 낳을 것이다. 바로 이런 역정의 시 가녘에서 단시의 반증이 나선다. 솥뚜껑 위의 참깨인 양 튀어 오르기도 하고 두메 샘물로 넘쳐나기도 한다."
시는 짧은 한두 줄로 끝나지만, 참선하는 수도자들이 진리를 찾으며 주고받는 대화처럼 그 안에 어떤 진실이 담겨 있다.
첫 번째 시 '어느 날 1'에서 시인은 현실이 가상현실을 넘어 증강현실로까지 이어지는 시대에 인간 감정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슬픔이 남아있을지 걱정한다. 타인의 고통에 점점 둔감해지는 현실, 소통을 외면하며 외로움을 얘기하는 현실을 돌아보게 하는 시도 있다.
"밥 먹을 때/밥 먹지 못하는/아프리카와/남아시아/어디/어디를 생각하지 않는다//어쩌다가 생각해도 그 생각 바로 넘긴다//TV 유니세프 광고/굶주린 아기 휑한 눈/얼른 다른 데를 돌려본다/거기는 화장품 광고이다 미인이다" ('어느 날 104')
"아프리카 가나에는/'외로움'이라는 낱말이 없다네//동아시아도/어디도/'외로움'이라는 낱말 천지//미 원주민 크리족 후예 가로되/우리에게는/무엇보다도/제일 으뜸이 '듣기'라네/암/귀 기울여야지/귀 기울여야지 아니 그런가" ('어느 날 132')
시인의 오랜 화두인 한반도의 굴곡진 현대사를 노래하며 나라의 미래를 걱정하는 시들도 있다.
"우남(이승만의 호)은 성공한 실패/백범(김구의 호)은 실패한 성공//이것 밖에 없는 한국 현대사 후기의 빈곤으로/나 여기까지 왔나//자 어디로 가나" ('어느 날 48')
"네놈은 나쁘다//네놈이야말로 나쁘다//큰 놈 미합중국 트럼프와/작은 놈 북한 정은이가 서로 주고받는다//수소탄 이쪽저쪽/다른 놈들 팔짱끼고 처마 밑 섰다" ('어느 날 96')
"한반도 가로지른 휴전선 6백 리//울어라/실컷 울어라//너 백년 못 가" ('어느 날 181')
혈육의 내리사랑, 가까운 이들을 먼저 떠나보내며 느낀 한탄을 담은 시들도 마음에 와 닿는다.
"엄마의 것은 길고 길다/딸의 것은 짧다//시차 11시간 사이//그 핏줄 1촌(寸)의 이메일 오고 가기/어느덧 20여 년" ('어느 날 18')
"외할머니는/나에게/무엇이든/다 주셨다//나는 외할머니한테/아무것도/드린 적 없다//외할머니 무덤도 모른다" ('어느 날 101')
"어차피/다 마시지 못하고 간다/다 미워하지 못하고 간다 다 살지 못하고 간다/누구에게나/한 생애는 반생애" ('어느 날 168')
"또래들 하나둘 간다/아니/손아래도 실없이 간다/남은 것이 미안하다//건너 산을 본다" ('어느 날 214')
문학평론가 이형권은 "'어느 날'에는 여전히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지닌 문제점과 부면들에 대한 통찰과 관련되는 비판과 저항 정신이 번뜩인다. 다만 통찰이나 비판의 대상이 반민주주의 사회에서 비인간적 사회, 디지털 자본주의 사회, 배타주의적 편견 사회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은 이전과 다른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mi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