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수소전기차, 서울-평창 190㎞ 자율주행 성공

입력 2018-02-04 10:51   수정 2018-02-04 18:38

현대차 수소전기차, 서울-평창 190㎞ 자율주행 성공
수소전기차 자율주행 시연은 첫 사례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현대자동차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서울-평창 간 고속도로 약 190㎞ 구간에서 자율주행에 성공했다.
4일 현대차에 따르면 지난 2일 선보인 자율주행 시연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 기준 4단계를 충족하는 차세대 수소전기차 기반의 자율주행차 3대와 제네시스 G80 자율주행차 2대로 진행됐다.
4단계는 운전자가 정해진 조건에서 운전에 전혀 개입하지 않고 시스템이 정해진 조건 내 모든 상황에서 차량의 속도와 방향을 통제하는 수준이다. 운전자가 필요 없는 무인자동차를 의미하는 5단계와 함께 '완전 자율주행'으로 분류된다.
이번과 같이 수백㎞ 수준의 장거리 코스에서 구간별 법규가 허용하는 최고 속도(시속 100∼110㎞)까지 구현하며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인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특히 공해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차인 수소전기차로 자율주행 기술을 시연한 것은 전 세계적으로 첫 사례라고 현대차는 전했다. 자율주행 수소전기차는 문재인 대통령이 일부 구간에서 직접 시승에 나서 주목받기도 했다.
시연 과정을 보면 운전자가 자율주행 스티어링휠(운전대)에 있는 '크루즈'(CRUISE) 및 '세트'(SET) 버튼을 누르자 차량이 자율주행 모드로 전환되며 스스로 달리기 시작했다.
5대의 자율주행 차량은 경부고속도로 하행선 만남의 광장 휴게소에서 출발, 신갈 JC(분기점)를 거쳐 영동고속도를 질주한 뒤 대관령 IC(나들목)를 빠져나와 최종 목적지인 대관령 TG(요금소)에 무사히 도착했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동안에는 차량흐름과 연계한 ▲ 차선 유지 및 변경 ▲ 전방 차량 추월 ▲ 7개 터널 통과 ▲ TG·IC·JC 통과 기능 등이 구현됐다.

현대차는 차선 합류 시 주변 차량을 세밀하게 인지·판단하는 기술과 정확한 차폭 및 위치 계산 기술, GPS 신호가 끊길 경우 정밀지도를 기반으로 차량 위치를 정밀 인식하는 기술 등을 고도화해 작년 초 미국 CES에서 선보인 라스베이거스 도심 자율주행차보다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전방 및 후·측방 카메라, 전·후·측방 라이다 등 각종 센서와 장비를 추가로 장착했음에도 외관상 양산형 모델과 별반 차이가 없어 자율주행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게 현대차의 설명이다.
자율주행 수소전기차의 경우 후석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5G 기반 첨단 커넥티드 기술이 세계 최초로 대거 적용됐다.
구체적으로 ▲ 자동차에서 한 번의 터치로 생활공간을 제어하는 '카투홈' ▲ 지능형 음성인식 채팅 '어시스턴트 챗' ▲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고 기분전환을 돕는 '웰니스 케어' 등이 탑재됐다.
현대차는 평창올림픽 및 동계패럴림픽 기간에 평창 시내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체험 차량을 운영한다.
시내 자율주행 코스는 대관령 119안전센터 앞 원형삼거리에서 출발, 서쪽으로 3.5㎞ 떨어진 회전 교차로에서 유턴한 뒤 같은 길로 돌아오는 왕복 7㎞ 구간으로 13분가량 소요된다.
이진우 현대차 지능형안전기술센터장은 "당사의 자율주행 기술개발 철학은 더 많은 고객에게 최고의 안전을 제공하고 고객 요구에 부응하는 최대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상상이 현실이 될 자율주행 기술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1년까지 스마트시티 안에서의 4단계 수준 도심형 자율주행 시스템 상용화를 추진한다. 또 2030년까지 완전 자율주행기술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