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대통령 박정희는 신화…정치적 후원자였을 뿐"

입력 2018-03-06 15:23   수정 2018-03-06 15:39

"과학대통령 박정희는 신화…정치적 후원자였을 뿐"
1960∼1970년대 과학 담론 분석한 학술서 출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과학기술처 신설,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 수립, 과학기술진흥법 제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설립….
1960∼1970년대 박정희 정부 시절에 추진된 과학기술 정책이다. '과학입국 기술자립'(科學立國 技術自立)을 내걸고 전 국민의 과학화 운동을 독려한 박정희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의 초석을 놓은 인물로 평가된다.
'과학대통령'은 이 같은 시각이 반영돼 만들어진 호칭이다. 지난 2016년 KIST는 연구소 설립 30주년을 맞아 본관 근처에 과학자가 아닌 박 전 대통령 동상을 세웠다. 그는 어느새 현대 과학사에서 핵심적 위치를 점하는 인물로 자리매김했다.
역사비평사가 펴낸 신간 ''과학대통령 박정희' 신화를 넘어'는 박정희 정부에서 만든 과학기술 정책을 살피고, 과학대통령이라는 담론이 생겨난 과정을 분석한 책이다.
김근배 전북대 교수는 '박정희 정부 시기 과학기술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제목의 글에서 "박정희 정부 시기에 남다르게 추진된 과학기술 제도의 구축은 매우 중요했다"면서도 "박 전 대통령이 과학기술 발전의 유일한, 혹은 결정적인 동인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김 교수는 KIST가 미국의 제안과 원조로 만들어졌고 과학기술처가 개발도상국 최초의 과학기술 전담 부서가 아니라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박 전 대통령을 '과학대통령'으로 보는 담론은 역사적 사실과 어긋나고, 과학기술의 정치적 후원자로 여기는 것이 적절하다"고 강조한다.
즉 박정희 정부 시기에 과학기술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가 과학기술에 보인 관심은 통치자로서 정치 행위였을 따름이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어 산업기술의 강조, 과학 연구 조직 신설, 과학기술의 대형화, 정치적 의존 심화 등을 박정희 정부 과학기술 정책의 특징으로 꼽고 소수에게 집중된 특혜, 단기적 성과 치중, 기초과학 부실 등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고 비판한다.
그러면서 "이승만 정부는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했고, 전두환과 노태우 정부는 개발 연구에 치중했다"면서 "시기별로 과학기술의 돌파구가 새롭게 열리며 발전이 가파르게 이뤄졌다"고 설명한다.
책에는 이외에도 1960∼1970년대 과학 정책과 담론을 분석한 논문 9편이 실렸다. 대부분은 계간지 '역사비평'에 수록됐고, 일부는 학술지 '공간과 사회', '사회와 역사' 등에 게재됐던 글이다. 432쪽. 2만원.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