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백악관 안보사령탑 볼턴은 '네오콘' 출신 초강경파

입력 2018-03-23 08:54   수정 2018-03-23 09:25

신임 백악관 안보사령탑 볼턴은 '네오콘' 출신 초강경파

김정일에 '폭군 같은 독재자' 비판해 북핵협상 대표단서 제외되기도
'전략적 인내' 대북정책에 줄기차게 반대

<YNAPHOTO path='PYH2018032302870034000_P2.jpg' id='PYH20180323028700340' title='트럼프, 백악관 안보보좌관에 '강경파' 볼턴 임명' caption='(워싱턴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을 전격 경질하고, 대북 '초강경파'로 꼽히는 존 볼턴 전 유엔주재 미국대사를 후임으로 발탁했다. 다음 달 9일 NSC 보좌관으로 정식 취임하는 볼턴 전 대사는 대북 강경파의 대표격으로 꼽히며, 트럼프 대통령과 종종 만나 조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작년 2월 메릴랜드주에서 열린 보수정치행동위원회(CPAC) 연례총회에서 연설하는 볼턴 전 유엔대사. <br>lkm@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강영두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백악관의 안보사령탑에 오른 신임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 내 대표적인 대북 강경파로 손꼽힌다.
내달 9일 취임하는 그는 조지 W. 부시 대통령 재직 시절인 2005년 8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유엔주재 미국대사를 역임했다.
부시 행정부 내 대표적인 네오콘(신보수주의자)으로 꼽혔으나, 중간선거에서 패배한 부시 대통령이 그의 재지명을 포기함으로써 대사직 수행 16개월 만에 낙마했다. 당시 민주당이 다수당이 된 상황에서 상원 인준 절차를 밟는 것이 정치적 부담이 됐기 때문이다.
그는 유엔대사 시절 북한과 더불어 중국, 이란, 시리아, 쿠바 정권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다. 북한 등을 겨냥한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을 구체화했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이후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선도했다.
이에 앞서 그는 2003년 북핵 협상 당시 미국 대표단에 포함되기도 했다. 그러나 김정일 위원장을 '폭군 같은 독재자'라고 칭하고, '북한의 삶은 지옥 같은 악몽'이라고 발언한 후 북한으로부터 "그런 인간쓰레기에다 흡혈귀는 회담에 참여할 자격이 없다"는 비난을 받아 결국 제외됐다.
유엔 대사 퇴임 후에는 보수 성향의 싱크탱크인 미국기업연구소(AEI)로 다시 돌아가 선임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인 '전략적 인내'를 줄기차게 반대했다.
이어 2012년 대선에서는 공화당의 밋 롬니 후보의 외교 정책 고문을 역임했으며, 2106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을 도왔다.
트럼프 정부 출범을 즈음해 국무장관, NSC 보좌관, 주한 미국대사 등 외교안보 분야나 한반도 관련 핵심 직책 발탁설이 끊임없이 돌았다.
지난 1년여 동안 폭스뉴스 등 보수 매체에서 해설가로도 활동하기도 한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조언하기 위해 백악관을 드나드는 모습이 수시로 목격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사이가 껄끄러운 허버트 맥매스터 보좌관의 경질 가능성이 고조되면서 후임으로 그의 이름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됐다.
그는 올해 들어 남북대화 등 유화 모드로 돌아선 북한의 진정성에 의구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지난 8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북한은 오로지 운반 가능한 핵무기를 손에 넣는 데만 진지하다"며 "북한이 결승선을 몇m 남겨놓고 왜 멈추겠느냐"고 주장했다.
k027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