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욕 통제하면 오히려 항의" 해수욕장 안전사고 막을 방법 없나

입력 2018-07-09 14:38  

"입욕 통제하면 오히려 항의" 해수욕장 안전사고 막을 방법 없나
'높은 파도에도 입욕' 해마다 사고 반복…근본대책 필요

(속초=연합뉴스) 이종건 기자 = 해마다 반복되는 해수욕장 안전사고가 올해 또 발생하자 이를 막을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9일 속초·동해해양경찰서에서 따르면 지난 7일 고성 송지호와 속초 외옹치, 동해 추암, 삼척 맹방해수욕장에서 피서객 물놀이 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6명은 구조됐으나 1명은 사망하고 2명은 실종됐다.
피서철 해수욕장 안전사고는 매년 반복되는 것이나 올해는 시즌 초기부터 사고가 발생해 지자체는 물론 해경과 구조 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특히 이번 사고는 모두가 미개장 해수욕장에서 발생해 개장 전 해수욕장이 안전사각지대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줬다.
이에 따라 지역에서는 해마다 반복되는 이런 사고를 막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자치단체별로 다른 해수욕장 개장과 폐장을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동해안의 경우 강릉과 속초, 양양지역 해수욕장은 지난 6일 개장했으나 사고가 난 고성과 동해, 삼척지역 해수욕장은 오는 13일 개장할 예정이다.
마을 단위 해수욕장인 속초 외옹치해수욕장도 당초 지난 6일 개장할 예정이었으나 내부사정으로 아직 개장하지 못한 상태다.
하지만 대부분의 외지 피서객들은 동해안 해수욕장이 지난 6일 모두 개장한 것으로 잘못 알고 수상안전요원이나 통제요원 없이 위험에 노출된 미개장 해수욕장에서도 바다에 들어가는 등 피서를 즐기고 있다.
이 때문에 피서객들 사이에서는 시, 군별로 다른 개장 기간을 통일해 안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미개장 해수욕장에는 안전요원이나 통제요원이 없다는 사실을 알리는 현수막이나 표지판 설치가 필요하다.
동해안 해수욕장 업무를 담당하는 강원도환동해본부 관계자는 "자치단체별로 해수욕장 개장과 폐장일이 다른 것은 각 자치단체의 사정에 따른 것"이라며 "해수욕장 운영과 관리권이 시, 군에 있다가 보니 이를 일률적으로 조정할 수가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조치에도 피서객들의 안전불감증이 사라지지 않고서는 사고를 막을 수 없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이번 사고도 매년 반복되는 안전사고와 같이 높은 파도가 몰아치는 상황에서 발생했다.
사고 당일 풍랑특보가 내려진 동해연안에는 3m가 넘는 거센 파도가 일어 도저히 바다에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이를 가볍게 본 것이 결국에는 크고 작은 사고로 이어졌다.
사고 대부분도 지역 실정에 어두운 외지 피서객에 의해 발생했다.
속초해경 관계자는 "파도가 높을 때는 절대로 바다에 들어가지 말아야 하는데 바다에 들어갔다가 순식간에 걷잡을 수 없는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며 "통제요원이나 안전요원이 없는 미개장 해수욕장에서는 특별히 조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속초해변에서 피서객 안전관리를 하는 한 안전요원은 "바다 상태가 나쁠 때는 수영을 금지하는데 이에 항의하는 피서객도 있다"며 "통제에 따라 주지 않는 피서객들 때문에 애를 먹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고 어려움을 털어놨다.
mom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