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과의 전쟁] ② "창궐은 필연적…범정부 위기관리시스템 만들어야"

입력 2018-07-15 07:01  

[해충과의 전쟁] ② "창궐은 필연적…범정부 위기관리시스템 만들어야"
교역 증가·수입식물 다양화·기후 온난화로 한반도 확산세
알집제거 등 총력전에도 근본적 해결엔 미흡…통합 대책 시급

(전국종합=연합뉴스) 바퀴벌레와 꽃매미 등 각종 병해충의 '공습'이 한반도를 강타한 지 오래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하고 국제교역이 늘고 있는 데다 고온다습한 무더위가 장기화하면서 한반도 전역이 병해충의 집단 번식처가 된 셈이다.
특히 바퀴벌레와 진딧물, 총채벌레, 먹노린재 등 상존한 병해충에다가 토착화한 외래충까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종합환경위생기업 세스코에 따르면 2016년 해충 모니터링 결과 발견된 바퀴벌레는 239만4천여 마리로 전년의 202만6천443마리보다 18.1% 증가했다.
2012∼2016년 연 평균(186만3천658마리)과 비교하면 28.5% 많아졌다.
바퀴벌레 배설물에는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물질이 다량 함유돼 있어 가려움증·피부염·피부 괴사·천식·꽃가루알레르기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사람 대변을 잘 먹기 때문에 각종 병원체도 퍼뜨린다.

2012년 159만마리, 2013년 166만마리, 2014년 164만마리이던 바퀴벌레는 2015년 200만 마리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바퀴 연중 발견 추이는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주로 5월 증가하기 시작해 무더운 7∼9월 가장 많이 발견됐다.
세스코 기술연구소 관계자는 "최근 기후변화로 해충 활동 시기와 번식 속도가 빨라져 바퀴벌레가 계속 급증하고 있다"며 "도심지 개발 등 때문에 외부 서식처가 파괴됨에 따라 내부 침입 개체가 증가해 건물 내·외부에서 더 많이 보이는 것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농촌은 '외래 해충 삼총사'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삼총사'는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미국선녀벌레를 일컫는다. 확산 세가 빠르고 농약에도 쉽게 퇴치되지 않는 공통점을 지녔다.
1973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세 번째로 포근한 겨울을 지낸 지난해 이들 해충의 발생면적은 사상 처음 3만㏊를 넘어섰다.
꽃매미 월동률이 88.9%에 이를 만큼 월동환경이 좋았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이 지난 3월 전국의 갈색날개매미충 현황을 조사한 결과 4천628㏊에서 월동 난(알)이 발견됐다.
중국과 인도 등에 분포하는 이 해충은 2010년 국내에 들어와 사과·포도·복숭아 등의 수액을 빨아먹어 말라죽게 하거나 분비물을 배설해 과일의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천적이 별로 없고 환경 적응력도 뛰어나 해를 거듭할수록 피해가 확산하는 추세다.
2015년 6천958㏊이던 이 해충 피해면적은 이듬해 1만1천276㏊, 지난해 1만2천889㏊ 등 3년 새 2배 가까이 늘었다.
포도나무 등에 피해를 주는 꽃매미 알집도 전년(783㏊)보다 10.6% 줄어든 701㏊에서 발견됐다. 2015년 1천176㏊이던 꽃매미 피해는 이듬해 2천561㏊, 지난해 2천852㏊로 증가했다.

사과·배·감나무 수액을 빨아먹거나 분비물로 그을음병을 유발하는 미국선녀벌레의 지난해 피해면적은 1만5천138㏊로 집계됐다.
2015년의 피해면적 4천26㏊보다 3배 넘게 폭증했다.
이런 해충의 습격에 관계기관과 농가들은 돌발해충 알이 밀집해 있는 풀을 제거하거나 부화 시기에 살충제를 살포하는 등 방제 대책에 나섰다.
돌발해충 피해가 매년 급증 추세인 농촌 자치단체와 관계기관은 산림 병해충 예찰 방제단을 투입해 알집 제거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농경지와 과수원, 인접 산림지역 등에 집중 방제를 했다.
돌발해충 확산을 막으려면 과수원과 인근 야산을 미리 살펴 나무에 붙어있는 알 덩어리를 없애야 한다. 또 알에서 약충(어린 벌레)으로 부화했을 때는 발생 지역에 적용 약제를 사용한다.
약제는 월동 알이 50% 이상 약충으로 부화한 때부터 발생 정도에 따라 1주일 간격으로 1∼3회 뿌려준다.
정준용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장은 "돌발해충은 제때 적용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지역마다 방제 구역을 설정해 부화 시기에 맞춰 약제를 뿌려주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개별 농가 차원으로는 방제에 한계가 있다며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근본 원인으로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환경문제가 거론된다. 살충제의 남용으로 해충들의 살충제 저항성이 강해지는가 하면, 악화한 환경에 맞춰 돌연변이가 활발히 이뤄지면서 더욱 생존력이 강해지고 있다.
국가 간 교역 증가와 수입식물 품목 다양화, 급속한 기후 온난화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라 농림·산림·환경·질병 등을 통합한 범정부적 '병해충 위기관리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다.
(정경재 박병기 김동철 기자)
sollens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