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소각장 갈등 어디로…비대위 "이전 투쟁 본격화"

입력 2018-10-15 10:47  

김해 소각장 갈등 어디로…비대위 "이전 투쟁 본격화"
18일 시청 앞 궐기대회 등 예고, 시 "행정 절차 진행, 악취문제 해결"



(김해=연합뉴스) 정학구 기자 = 김해 장유 폐기물소각장 이전을 주장하며 증설에 반대해온 주민들이 증설 관련 행정절차를 본격화한 김해시를 상대로 강력 투쟁을 선언해 추이가 주목된다.
장유소각장 증설 반대 및 이전촉구주민공동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18일 시청 앞에서 주민궐기대회를 열어 소각장 인근 주민들의 증설 반대 의사를 시청과 의회에 전달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주민비대위는 또 내주 장유출장소에서 열리는 부곡동 악취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간담회에도 대규모로 참석, 소각장 이전이 근본적인 해결책임을 강조하는 등 투쟁 수위를 높여갈 예정이다.
비대위는 이에 앞서 지난 14일 저녁을 포함해 최근 3일간 아파트 단지 안 공원에서 잇따라 소각장 관련 주민보고회를 열어 주민 의사를 결집했다.
비대위는 오는 18일 궐기대회에 앞서 시장 면담을 요구하고 시의회를 방문해 최근 시가 요구한 장유소각장 증설을 전제로 한 '김해-창원 소각시설 광역화 사업 기본협약 체결 동의안' 처리 경위 등을 따지기로 했다.
이 동의안엔 김해시가 기존 소각로 처리용량을 150t에서 300t으로 늘리면서 국·도비 지원 요건인 광역화를 위해 창원(진해구) 생활 쓰레기를 하루 50t씩 받아주기로 하고 운영비 등을 분담하는 내용이 담겼다.
시는 소각장 현대화 사업(증설 포함)에 국비와 도비를 지원받으려면 광역화가 필수 조건이며 총사업비 874억원 가운데 70%인 612억원을 국·도비로 조달하고 나머지 30% 가운데 25%는 김해시가, 5%는 창원시가 부담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소각장이 위치한 부곡동 악취 원인에 대해선 입장이 엇갈려 시와 비대위가 각각 내놓은 해결방안도 다르다.
시는 소각장보다 부곡공단 주물공장과 열처리공장 등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오는 23일 장유출장소 주민간담회에 앞서 주민대표와 기업체·시의원·악취전문가·관계 공무원 등 15명으로 '생활악취문제 해결 추진단'을 구성하기로 했다.



추진단이 구성되면 내달부터 1억5천만원으로 전문기관에 맡겨 악취실태조사를 1년간 벌인다. 원인이 확인되면 경남도에 악취배출시설 지정 고시를 건의, 방지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관련 조례도 개정해 악취공장 입주를 제한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비대위 측은 일부 악취 원인이 공단에 있더라도 악취와 다이옥신 등 배출물질 공해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 위해선 시가 애초 추진해온 소각장 이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민보고회 3일째 비대위는 허성곤 김해시장에게 소각장 증설계획 백지화와 이전 약속 이행, 부곡주민협의체와 밀실협약 파기 및 협의체 위원 해촉, 폭행 공무원 해임과 사과 등을 요구했다.
이어 주민협의체에 대해서도 위원장과 위원들이 주민들에게 사과하고 현 사태에 책임지고 물러나라고 요구했다.
김해시는 '영향권'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최근 논란 끝에 진행한 시민 원탁토론과 여론조사 결과 등을 근거로 일시 보류했던 소각장 증설·현대화 관련 행정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 내년 초 국비지원을 신청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소각장 증설·현대화사업은 내년 초부터 2022년 말까지 추진된다.
현 소각장 안 빈터에 소각로 1기를 추가 설치하는 대신 시는 5만6천900㎡ 소각장 부지에 주민편익시설인 수영장 등 복합스포츠센터를 짓고, 출장소 건물 재건축과 마을문화센터 건립 등으로 친환경에너지타운을 조성한다.
소각장에서 반경 300m 이내인 영향권 주민들에게는 주민지원협약에 따라 가구별 난방비를 매월 4만원씩 지급하는 등 총 310억원 규모 주민 복지사업이 진행된다.
b94051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